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올해 세수펑크 59조 '역대 최대'…국세 전망 400→341조
상태바
올해 세수펑크 59조 '역대 최대'…국세 전망 400→341조
  • 이신우기자
  • 승인 2023.09.18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재부, 세수재추계 발표…외평기금·잉여금·불용으로 대응
3년 연속 대규모 오차율…교부금 자동삭감 '지방재정 타격'
정정훈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세수 재추계 결과 및 재정대응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김동일 예산실장. [연합뉴스]
정정훈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세수 재추계 결과 및 재정대응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김동일 예산실장. [연합뉴스]

올해 국세수입이 당초 예상보다 59조 원 가량 부족해 역대 최대 규모의 '세수 펑크'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주요 기업의 실적 부진과 국내 자산시장 위축으로 법인세와 양도소득세 실적이 급감한 탓이다.

정부는 이같은 세수 펑크에도 추가적인 국채발행을 위한 추경예산안 없이도 대응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을 비롯한 기금 여유재원, 세계(歲計) 잉여금, 편성한 예산을 쓰지 않는 불용(不用) 등으로 세수결손을 메우겠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8일 8월 말까지 기업들이 내야 하는 법인세 중간예납 실적까지 반영한 '국세수입 재추계'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추경예산을 거치지 않고 공식적인 세수 재추계를 발표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세수펑크가 올해 재정 운용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엄중한 상황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올해 국세수입은 기존 세입예산안 전망치 400조5천억 원에서 341조4천억 원으로 59조1천억 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1∼7월 국세 수입은 217조6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3조4천억 원 줄었다. 이런 추세를 고려하면 약 60조 원의 '세입 공백'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기존 전망보다 14.8% 부족한 규모로, 3년 연속으로 두 자릿수대 오차율을 기록하게 됐다. 2021년과 지난해에도 대규모 초과세수로 두 자릿수대 오차율을 기록한 바 있다.

정정훈 세제실장은 "방향성은 다르지만 3개년 연속 큰 폭의 세수 오차가 발생해 송구스럽다"며 "2021~2022년엔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면서 기업실적이 예상외로 빨리 좋아졌고 전 세계적 통화팽창까지 더해지면서 초과세수가 생겼고, 올해는 다른 방향으로 고금리 상황에서 반도체부터 시작해서 급격하게 경기하방 압력이 생기면서 법인세와 자산세수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정훈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세수 재추계 결과 및 재정대응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연 교육부 정책기획관, 윤인대 경제정책국장, 김동일 예산실장, 정정훈 세제실장, 임기근 재정관리관, 신중범 국제금융국장,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국장. [연합뉴스]
정정훈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세수 재추계 결과 및 재정대응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연 교육부 정책기획관, 윤인대 경제정책국장, 김동일 예산실장, 정정훈 세제실장, 임기근 재정관리관, 신중범 국제금융국장,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국장. [연합뉴스]

주요 세목별로 부족분을 보면 법인세가 25조4천억 원으로 전체 세수펑크의 40%를 훌쩍 웃돌았다.

이어 ▲양도소득세 12조2천억 원 ▲부가가치세 9조3천억 원 ▲종합소득세 3조6천억 원 ▲관세 3조5천억 원 ▲상속·증여세 3조3천억 원 등으로 전망됐다.

내국세의 40%가량을 지방교부세·지방교육재정교부금 명목으로 지방에 이전하는 법규정에 따라 세수부족 59조 원 가운데 약 23조 원은 지방부담이 된다.

나머지 중앙부담 36조 원에 대해선 크게 4조 원 안팎의 잉여금, 약 24조 원 기금 여유재원, 통상 10조 원 안팎의 불용예산을 활용할 예정이다.

불용 예산의 규모는 연말에 이르러서야 최종적으로 확정된다.

2023년도 국세수입 재추계 결과. [기획재정부 제공]
2023년도 국세수입 재추계 결과. [기획재정부 제공]

특히 외환시장 상황과 맞물려 20조 원 가량의 외평기금이 확보됐다.

외평기금 여윳돈을 총괄계정격인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에 조기상환하는 방식으로 일반회계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신중범 국제금융국장은 "외평기금의 조기상환 이후에도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충분한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내년에는 원화 외평채 발행 한도까지 있기에 필요시 추가로 재원 투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