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韓경제, IMF 외환위기 수준 '유턴'
상태바
韓경제, IMF 외환위기 수준 '유턴'
  • 백인숙기자
  • 승인 2016.09.26 0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경제의 주요 지표들이 1990년대 후반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수준으로 잇따라 곤두박질 치고 있다.
 청년실업률이 치솟고 장기 백수 비중도 외환위기 수준으로 늘어나면서 실업의 질이 급격하게 악화했다.
 법원의 파산관리 기업 규모는 이미 외환위기 수준에 육박했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 수도 외환위기 이후 최대를 기록하는 등 기업의 사정도 악화일로다.
 지금의 통계 수치대로라면 정부의 기대 섞인 전망이 무색할 만큼 한국 경제에 짙은 잿빛 구름만 잔뜩 낀 상황이다.
 
◆청년·장기실업 최악, 공인중개사 인기…‘외환위기 때와 판박이’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실업률은 9.3%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무려 1.3%포인트나 껑충 뛰었다.
 IMF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1999년 8월 10.7%를 기록한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년실업률은 지난 6월에도 10.3%를 기록, 마찬가지로 IMF 외환위기 때인 1999년 6월(11.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년실업률은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매달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운데 이어 하반기에도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못하면서 IMF 외환위기 수준에 근접하는 모양새다.
 설상가상으로 6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백수’의 증가세도 이미 IMF 외환위기 수준에 육박한 상태다.
 지난달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 수는 18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만 2000명이나 증가했다.
 장기실업자 증가 폭은 실업자 기준을 구직 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꾼 1999년 6월 이후 최대, 실업자 수는 1999년 8월 27만 4000명을 기록한 이후 같은 달 기준 최대치이다.
 지난달 전체 실업자 중 장기실업자 비율도 18.27%로 급증해 IMF 위기 당시인 1999년 8월(20%) 수준에 바짝 다가섰다.
 올해 다시 시작된 공인중개사 시험 열풍도 IMF 외환위기의 악몽을 떠올리게 한다.
 올해 공인중개사 시험 신청자는 19만1천여명으로 지난해보다 4만 명이나 늘었다.
 외환위기가 시작된 1997년에도 실업과 생활불안 탓에 공인중개사 시험 신청자가 이전보다 7만여 명 늘어나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선 바 있다.
 고용시장의 악화는 직·간접적으로 가계소득의 정체와도 맞물려 움직이는 양상이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 기준)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증가한 데 그쳤다.
 가구소득 상승률은 지난 2014년 1분기부터 지난해 2분기까지 2∼5%대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3분기 0.7%로 뚝 떨어진 뒤로 4분기 연속 0%대를 맴돌고 있다.
 
◆파산급증·신용등급 강등…산업 통계도 ‘IMF 위기 수준’ 곤두박질
 예사롭지 않은 경기침체 징후는 산업 지표 곳곳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지난해 신용평가사들이 무보증 회사채 신용등급을 내린 기업은 159곳으로 전년보다 26곳 늘었다.
 신용등급 강등 업체 수는 2010년 34개사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4년 133곳까지 늘어났고 지난해에는 160곳에 육박한 것이다.
 이는 IMF 위기 직후인 1998년 171곳이 강등된 이래 17년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제조업 엔진도 점차 식어가고 있다.
 지난해 연간 제조업 가동률은 74.3%로 1998년 67.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올해 2분기에는 제조업 가동률이 72.2%까지 떨어져 IMF 위기가 계속되던 1999년 1분기(71.4%)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 근접하는 모습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한국 경제가 IMF 위기 당시보다 더욱 긴 경기 수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을 내놨다.
 정부는 이런 현재 경제 상황이 앞선 금융위기 때와는 다른 양상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대내외적으로 경기 하방 요인이 산재한 엄중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실물경기, 외환위기 직후 수준…체감 경기 살리는 선제 정책 필요”
 전문가들도 현재 경기 불황이 외환위기 때와는 분명 성격이 다르지만 일부 경제 부문은 외환위기 직후 수준만큼 나빠졌다는 진단을 내렸다.
 IMF 외환위기가 짧고 강한 충격에 의한 것이었다면 최근 경기 부진은 충격은 덜하지만 더 길게 이어지고 있어 국민이 느끼는 체감 고통은 더 나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구조적인 경기 부진까지 겹친 현 상황에선 경제 반등의 물꼬를 트기가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체감 경기를 살리는 한편 선제 정책으로 경기 살리기 마중물을 부을 수 있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