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민고통 주는 생활물가 잡아야 한다
상태바
서민고통 주는 생활물가 잡아야 한다
  • 경기도 취재본부장
  • 승인 2017.01.15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해 들면서 교통비·하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등 장바구니 물가까지 덩달아 오름세로 이어가고 있어 서민들의 생활이 팍팍해지고 있다.  

 

최근 최순실 게이트 등 국정혼란을 틈타 벌어지는 생활물가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상활에 시민들은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데다 생활의욕마저 점차 잃어가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10일자 ‘불황속 생활물가 급등세’를 보면 농축수산물은 물론, 소비재가 2~3배까지 뛰고 있다고 보도했다. 

본지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통계를 인용, 6일자 기준으로 무(평년의 2.4배), 양배추(2.1배), 당근(2.2배), 계란(2배) 등 평년(직전 5년) 평균가격의 2~3배로 치솟은 품목이 적지 않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하반기이후 라면·콜라·맥주 등의 가격이 5~10%올랐으며, 소면·씨리얼·건전지·빙과·과자 등도 최근 6개월 사이 20~30% 뛴 상태라고 했다. 여기에 유가동향도 심상치 않아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5일 전국 1만1000여개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 평균가격(1500.44원)은 1500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3월 1399원으로 바닥을 친 휘발유 평균가격은 최근 국제유가상승과 더불어 지난해 11월 26일 이후 줄곧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성남의 한 주부는 “월급은 전혀 오르지 않는데 생필품은 모조리 오르는 분위기”라며 “가정에서 항상 먹는 먹거리까지 오르니 가뜩이나 어려운 살림을 어떻게 꾸려나갈지 걱정인데 정부는 뭘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고 정부경제정책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환율도 물가상승의 잠재적 불안요인이다.


금리인상 등의 미국의 긴축정책으로 ‘강(强)달러’기조가 이어질 경우 현재 1200원대까지 오른 원·달러환율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달러에 대한 원화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국내소비자들이 같은 가격의 수입품을 과거보다 더 많은 원화를 주고 사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물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이런데도 통계청은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올랐다고 발표하니, 이 통계를 신뢰할 시민은 얼마나 될지 의문이 든다.


앞서 지난해 5~8월까지 0%에 머물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월(1.2%) 1%를 넘어서더니, 10~12월 3개월 연속 1.3%를 기록했다. 이처럼 여러 측면에서 물가상승압력은 커지는 반면, 국내경기는 계속내리막을 걷고 있다.


이미 정부는 1999년 외환위기 이후처음으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대(2.6%)로 제시했지만, 이마저도 2%대 초중반을 예상하는 민간경제연구기관 등으로부터 ‘너무 낙관적’이라는 지적을 받을 정도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산물 등 일부품목의 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 사실이지만, 경제전반의 수요가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에 당장은 물가상승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일부 경제전문가들은 농산물 등 일부품목의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조류인플루엔자나 설 특수 등 계절요인이 작용하는 부분이 있고, 환율에 따른 수입 물가상승역시 가파른 상승세가 아니라며 영향이 제한적이라 하지만 서민들은 당장 장바구니물가가 오르고 있어 걱정이 대단하다.


올해 정부부처의 신년업무보고는 민생안정에 역점을 두는듯하지만 시민들이 체감물가는 정부의 민생안정이 먹혀들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높다.


아무리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시대는 아니라하지만 이대로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서민들의 체감경기를 가라앉히지 못하면 정부의 민생안정이란 목표는 물거품이 된다는 것을 명심하고, 생활물가를 안정시키는 사업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