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드론산업 활성화 위해 역량 모을 때
상태바
드론산업 활성화 위해 역량 모을 때
  • 최승필지방부국장
  • 승인 2019.05.06 1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승필지방부국장
<전국매일신문 최승필지방부국장>

다양한 IT 및 과학기술이 개발되고, 이 같은 첨단 기술의 결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드론(drone)’이 21세기를 이끌어갈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드론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산업분야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드론’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라고 불린다. 사람이 타지 않고 날아다니는 ‘무인항공기’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드론을 ‘무인기’로 정의 내렸다. 드론의 어원에 대해 다양한 주장이 있으나 그중 가장 설득력이 있는 주장은 드론 자체의 어원에 기인했다고 보고 있다.
 
드론은 원래 벌목과 곤충의 수컷을 지칭하거나 동사로는 꿀벌이 ‘윙윙’ 거리는 날개 짓 소리를 뜻하는 것으로, 드론의 프로펠러가 내는 소리가 비슷하다보니 ‘수벌이 윙윙거린다’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드론에 적용되는 기술은 매우 다양한다. 드론을 운용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위성항법(GPS)기술을 비롯, 장거리 통신기술, 고해상도 카메라, 열 감지기 및 적외선 카메라 기술 등 사람의 눈을 대신할 기술이 있다.
 
또, 드론의 안전한 이동과 임무 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정밀 비행제어 기술 및 이동경로를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센서 기술도 적용되고 있다. TV프로그램이나 영화 제작에 있어서도 헬리캠과 플라잉 카메라 등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어 보다 더 역동적인 화면을 담을 수 있게 됐다. 드론은 로터(프로펠러)를 사용하는 개수에 따라 4개를 쓰는 쿼드(quad)콥터, 6개를 쓰는 핵사(hexa)콥터, 8개를 쓰는 옥토(oxto)콥터라고 부른다고 한다.

최초의 형태는 폭격용 열기구(Bombing by Balloon)로, 1849년 오스트리아에서 발명된 것으로, 열기구에 폭탄을 달아 떨어뜨리는 방식이었고, 베니스와의 전투에서 실제 사용됐다고 한다. 이후 드론이 개발되던 최초에는 표적, 정찰, 감시 등 군사목적으로 사용된 뒤 최근에는 민간분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 현재 드론이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농업로, 광범위한 농가의 면적에 농약 살포용 드론을 도입,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때문이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판매된 드론 중 46%가 농업용 드론이라고 하며, ‘국제무인비행시스템협회’에 따르면 미래 상업용 드론 시장의 80%는 농업용 드론이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최근에는 영화 및 미디어 산업으로도 크게 확산되고 있다. 아슬아슬한 장면을 촬영할 경우 헬리콥터를 대신해 고해상도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을 투입,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다. 또, 기자가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들어가 사진이나 비디오 촬영은 물론, 그 밖에 중요한 자료를 수집, 취재보도에 활용하는 ‘드론 저널리즘’도 취재 영역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급박한 시위 현장이나 신속하고 생생한 화면을 요구하는 재난현장 등에서 종합적인 영상 취재력을 보여줄 수도 있다. 공장 전 부지의 모습을 파악해 도면을 만들거나 공정, 공사안전정보, 공사물량 등을 예측할 수 있는 건설분야, 드론을 활용한 물류 및 배송분야 등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부터 215개 사업지구(389k㎡)에서 드론을 활용, 토지이용 현황조사와 후보지선정, 지구계 결정, 사업지구 관리, 토지현황조사 측량과 토공량산출, 노선·단지 선정, 단지·도로 설계 및 3차원 공간모델링, 주택 및 아파트 등 각종 건축설계와 구조물 취약부분 점검·진단 등에 드론을 활용키로 했다.
 
이로 인해 창출되는 신규 드론시장은 연간 25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방부는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오는 2024년부터 군수품 수송용 드론을 도입, 추진한다. 군 작전요구성능(ROC)에 접근한 시제기 10대를 순차적으로 도입, 2023년까지 실증평가를 거친 뒤 정상적인 전력화가 가능할 경우 2024년부터 육군 GOP(일반초소)사단과 공군 방공·관제부대, 해군 및 해병대 도서부대 등 격오지 부대에 식량과 의약품 보급 등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춘천시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농업용 드론업체에 위탁, 마을 주민들이 일정 면적 이상 방제를 요청할 경우, 마을별로 10ha이상 5곳의 방제 지원을 추진, 마을 자부담은 20%로, 모내기 전인 3월부터 운영하고, 농업인 드론교육도 추진하고 있다.
 
경남 산청군농업기술센터에서도 고령화된 농촌지역에서의 노동력 및 예산 절감을 위해 논밭에 농약이나 비료는 물론, 씨앗과 물을 뿌리는데 활용 가능한 농업용 드론교육을 실시하는 등 농업 분야에 드론을 폭넓게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업용 드론활용 벼 재배기술 연시회’를 통해 드론 활용은 육묘이앙 대비 비용 60%, 노동력은 50% 이상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어 고령화률이 높아지고 있는 농촌 현실을 비추어 볼 때 필수적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지난 2일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토부가 주관하는 ‘2019년 드론실증도시(Drone Air City) 공모사업’을 신청했다. 도는 ‘드론을 활용한 사람과 산업을 숨 쉬게 하는 환경도시 조성을 과제목표’로, 폐기물업체, 공사현장 환경 모니터링, 산업단지 대기 질 측정 등을 세부수행 과제로 설정했다.

실증도시 대상지는 화성시 향남읍으로 지정, 도와 화성시, 전자부품연구원, SK텔레콤(주), (주)두산 등 8개 참여사업자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 실증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화성시 공무원 1인당 인허가 건수가 연간 301건에 달할 만큼 급격한 택지개발이 진행되면서 환경오염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인력 부족으로 단속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 화성시를 실증도시대상지로 정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드론정책 추진현황 발표를 통해 무인이동체 분야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2750억 원 규모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과 함께 드론과 각종 서비스를 접목한 서비스 시장 육성에 중점을 두겠다고 했다. 4차 산업의 주역인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업계,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작기업과 서비스기업 등 주요 산업주체가 공동목표를 향해 역량을 모을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