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보훈청) 흥남철수작전의 휴머니스트, 에드워드 포니 대령
상태바
(서울보훈청) 흥남철수작전의 휴머니스트, 에드워드 포니 대령
  • 승인 2018.11.06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지방보훈청 홍보 담당 오제호

 

 

 

 

전쟁은 그 승패가 아군의 생사를 가름하고 더 나아서는 한 국가의 존망을 결정하곤 한다. 때문에 치열하고 잔인하

 

 

며 냉혹할 수밖에 없는 것이 전쟁의 필연적인 속성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전쟁은 승패를 초월하여 우리의 가슴을 따듯하게 만들어 주는 무언가를 만들어내곤 한다. 매년 11월 11일 부산 UN기념공원을 향해 6·25전쟁 참전국이 일제히 묵념을 하는 ‘Turn Toward Busan 국제 추모행사’의 근간에는 국경을 초월한 우정과 그러한 희생에 대한 추모가 담겨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소개할 6·25전쟁 미국 참전용사의 이야기는 이러한 Turn Toward Busan의 가치에 더해 사람에 대한 보편적인 존중 혹은 사랑을 담고 있다.

 

1950년 12월 즈음, 6·25의 전황은 좋지 않았다. 중공군이 원산을 점령함에 따라 동쪽으로 진군한 미 10군단과 국군 1군단은 육로를 통한 철수가 불가능해 졌다. 인해전술로 시시각각 포위를 좁혀 오는 적군의 공세에 아군의 유일한 활로는 흥남 부두를 통한 해상 철수였다. 이에 12월 15일부터 한미 양군 10만 5천여 명과 그에 부속된 수많은 군수물자들을 해상으로 부산 등지로 옮기는 대단위 군사작전이 흥남부두에서 시작되었다.

 

한편 중공군의 개입은 한미 양국군 뿐 아니라 북한 지역의 국민에게도 큰 재앙이었다. 살 곳을 찾아 남쪽으로 향했지만 원산 피탈로 갈 곳을 잃은 피란민들의 유일한 희망 또한 흥남에서의 해상 피란이었다. 때문에 수많은 피란민이 흥남으로 몰려들었지만 미군 지휘부는 피란민 수송을 꺼렸다. 시간 지체, 미군(결사대) 희생 증가, 수송 여력 부족, 적군 첩자 침투 용이 등 객관적 조건을 냉정하게 판단했을 때 수송에 따르는 위험부담이 결코 작지 않았다.

 

당시 미 10군 사령관 알몬드 장군이 피란민 수송을 부정적으로 판단한 상황에서, 그를 설득할 수 있는지 여부는 10만 명에 가까운 피란민의 생사와 직결되었다. 당시 미 10군단 참모부장이었던 에드워드 포니 대령은 자신의 직책을 걸고 알몬드 장군을 설득하였고, 그렇게 마음을 바꾼 미군의 조치는 실로 놀라운 것이었다. 폭약 400톤, 차량 17,500대, 군수물자 35만 톤이라는 막대한 물자를 포기하고, 그로써 확보되는 선적 여력을 피란민을 수송에 할애하기로 한 것이다.

철수작전에 피란민을 포함하는 것은 포니 대령 자신과 그 상관의 직책을 걸어야 함은 물론 미 10군단과 국군 1군단의 전력보존 및 6·25쟁의 향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포니 대령은 이 모든 위험을 감수했고, 그 결과 자신과 일면식도 없는 먼 나라의 피란민 약 10만명의 생명을 구했다. 일견 피란민 구출을 위한 도박으로 비춰질 수도 있지만, 자유를 찾아 남하하던 피란민들의 존재는 자신들이 먼 길을 달려와 도우려던 대한민국 그 자체이자 지키려던 세계평화의 일부였음을 포니 대령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1950년 12월 당시 흥남 인근의 피란민들은 절체절명의 상황에 놓여있었지만, 많은 위험을 감수하고 전개한 흥남철수작전의 성공으로 이들은 구출되었다. 미군에 한국 피란민의 상황을 알렸던 현봉학 박사와 피란민의 구출을 명령한 알몬드 장군이 그간 흥남철수작전의 주역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알몬드 장군을 설득함으로서 피란민 구출에 크게 공헌한 포니 대령은 안타깝게도 그렇지 못하다.

이에 지금까지는 흥남철수작전의 ‘숨은’ 주역에 머물러 있는 포니 대령이 다가오는 턴투워드 부산 국제추모일을 맞아 대한민국 국민 약 10만명의 생명을 구한 UN참전용사이자, ‘흥남철수작전’ 하면 떠오르는 2018년 12월 이달의 6·25전쟁영웅으로 기억될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전장에서도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사랑을 꽃피운 포니 대령의 휴머니스트로서의 모습도 재조명되기를 바라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