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정권-포스코, 악순환 끊어내야
상태바
정권-포스코, 악순환 끊어내야
  • .
  • 승인 2018.04.19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18일 '새로운 리더십'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사임 의사를 밝혔다. 포스코는 권 회장의 사의를 받아들여 신임 회장 선임 절차를 시작했다. 포스코는 권 회장이 이날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임시이사회에서 "100년 기업 포스코를 만들기 위해서는 젊고 유능한 인재가 CEO를 맡는 게 좋겠다"며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권 회장은 이사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저보다 더 열정적이고 능력 있고 젊고 박력 있는 분에게 회사 경영을 넘기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그 부분을 이사회가 흔쾌히 승낙했다"고 밝혔다. 권 회장은 "포스코가 새로운 백 년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여러 변화가 필요한데 그중에서도 중요한 게 CEO의 변화가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작년 3월 연임에 성공한 권 회장의 임기는 2020년 3월까지다. 포스코는 이사들이 사의 철회를 거듭 요청했지만, 권 회장이 뜻을 굽히지 않아 후임 CEO 선임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사회 의장인 김주현 사외이사는 "오랫동안 격론이 있었지만, 권 회장이 오랫동안 생각하고 결정한 사의를 이사회에서 받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도 정권교체 때마다 포스코의 최고 경영자가 바뀌었다. 유상부(노무현 정부 시절 2003년 3월 사퇴), 이구택(이명박 정부 시절 2009년 1월 사퇴), 정준양(박근혜 정부 시절 2014년 3월 사퇴) 전 회장도 정권교체와 함께 물러났다. 1968년 설립 후 고(故) 박태준 초대회장부터 권 회장까지 총 8명의 회장이 취임했으나 모두 임기 중간에 그만뒀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런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정권을 잡으면 능력보다는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을 CEO로 선임하고, 이들 CEO는 정권과 유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후임 정부는 이들을 교체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낙하산을 낙하산으로 대체하는 구조가 지속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이런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 지난 2000년 민영화된 이후 포스코 주식에는 정부 지분이 전혀 없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은 포스코에 대해 11.08%의 주식지분을 갖고 있지만, 한국 정부 지분은 0%다. 외국인 지분은 55.9%에 달한다. 민간기업의 주인은 정부가 아니다. 정부가 민간기업에 개입하면 능력과 신망을 갖춘 인물이 수장에 오르기가 쉽지 않고, 장기적인 사업계획을 짜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기업인들은 대통령 선거 때마다 후보들의 캠프를 기웃거릴 것이고 정경유착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다. 기업에도 좋지 않고, 정치와 사회에도 악재다.
포스코는 연간매출 61조원, 시가총액 29조원 규모로 코스피 기업 중 순위 7위다. 한국 간판 기업이지만 갈수록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보호무역이 강화되면서 전망이 밝지 않다. 이런 기업이 CEO 리스크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휘청이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감당해야 한다. 이제는 포스코에 새로운 관행을 만들어야 한다. 능력 있는 CEO를 제대로 뽑고, 탁월한 성과를 내면 임기도 연장해줄 필요가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전문성, 미래비전, 조직 이해도, 열정, 소통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포스코를 도약시킬 적합한 인물을 가려내야 한다. 정부의 권력획득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줬다는 점을 내세워 한자리 얻으려는 사람은 철저히 배제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