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보이스피싱 끝까지 추적해 엄벌해야
상태바
보이스피싱 끝까지 추적해 엄벌해야
  • .
  • 승인 2018.09.11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사기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피해액이 1년 전보다 70% 넘게 급증했다. 피해자 연령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출빙자와 정부기관 사칭 등의 접근방식을 적용했다. 1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802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보다 73.7%(764억원) 증가했다. 피해자는 2만1006명으로 같은 기간 56.4%(7573명) 늘었다. 매일 116명이 10억원(1인 평균 860만원) 전화금융사기를 당하는 셈이다. 대포통장(보이스피싱에 이용되어 지급정지된 계좌)은 2만6851건으로 27.8%(5839건)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대출빙자형이 1274억원(70.7%)으로 가장 많았고 정부기관 사칭형이 528억원(29.3%)이었다. 대출빙자형은 고금리 대출자에게 전화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접근하는 방식이다. 피해자가 관심을 보이면 기존 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서 저금리대출이 가능해진다며 자신들의 계좌로 입금하게 한다. 대출빙자형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494억원(3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351억원(27.9%)이었다.

 

정부기관 사칭형은 자신이 검찰 수사관인데 피해자 명의가 사기 사건에 도용됐다고 속이며 접근한다. 이 과정에서 이메일로 가짜 사건 공문과 가짜 신분증 사본을 보내 악성 앱을 깔게 한다. 이어 금감원 1332로 전화해 피해 금액을 확인하라고 하는데, 이를 따르면 악성 앱을 통해 금감원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에게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사기 사건과 관련 있는지 계좌 조사가 필요하다며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자 중엔 20∼30대 여성 비중이 3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고령층도 31.6%였다. 보이스피싱 사기범에 속아 피해를 봤다면 바로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회사 등에 신고해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관련 문의나 상담사항이 있으면 금감원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1332)에 문의하면 된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  10월 한 달 동안 금융권과 보이스피싱 제로(Zero) 캠페인을 한다.

 

요즘 보이스피싱은 특별히 경각심을 갖지 않으면 누구나 속아 넘어갈 만큼 지능적이다. 투박한 옌볜사투리는 옛말이고 변호사·의사 등 전문직 종사자들도 감쪽같이 당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남녀노소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만큼 평소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과 대응 요령을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금융회사나 검찰·경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대출해준다거나, 범죄에 연루됐다는 내용의 전화를 받으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하고 상대방의 소속기관·직위·이름 등을 확인한 뒤 전화를 끊는 게 좋다. 그다음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전화로 전화해 통화 내용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바란다. 혹 피해가 예상되거나 이미 피해를 봤다면 즉각 경찰이나 해당 금융회사 등에 신고해 피해 금액의 지급 정지를 요청하는 게 바람직하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사회의 신뢰를 무너뜨릴 뿐 아니라 가계 파탄 등 2차 피해까지 유발할 수 있는 중대 범죄다. 검경과 금융당국은 힘을 합쳐 급속하게 진화하는 수법에 다각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범행에 가담한 사람들은 끝까지 추적해 엄벌해야 한다. 전담 수사부서 인력 증원과 국제 공조 강화도 추진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