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중소협력업체 방치해선 안된다
상태바
중소협력업체 방치해선 안된다
  • .
  • 승인 2018.11.06 15: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산업의 불황으로 시작된 찬 바람이 중소기업에 한파로 불어닥치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지수는 97.0(2015년=100)으로 1년 전보다 13.9% 감소했다.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올해 2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1∼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줄어들면서 2009년(-8.8%)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 제조업 생산과 비교하면 중소기업의 경기 불황은 더욱 뚜렷하게 감지된다. 올해 1∼9월 대기업 제조업 생산은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낙폭은 0.4%에 그쳤다. 2015년 감소 폭(-1.1%)보다 작은 수준이다.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주로 자동차부품업, 기타금속가공업, 플라스틱제조업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주력산업으로 꼽혔던 자동차·조선업의 불황이 중소기업이 대다수인 하청·협력업체로 옮아가면서 그 파장이 커지는 모습이다. 중국 제조업 부상, 공장 이전 등으로 봉제·의류업 생산도 최근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자동차 산업에서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 특징상 주력 제조업의 불황이 중소기업으로 확대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2009년 금융위기 때도 대기업 제조업 생산이 4.3% 감소했을 때 중소기업은 두배 수준인 8.8%나 급감한 바 있다. 중소기업 상황이 좋지 않기는 서비스업도 마찬가지다. 올해 1∼9월 중소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증가 폭(2.1%)보다 축소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대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과 같은 수준인 2.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 서비스업 생산 둔화는 식당·주점 등 숙박·음식점업 불황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파악하고 있다. 조선산업 구조조정으로 해당 대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은 벌써 혹독한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중공업 군산공장은 지난해 이미 문을 닫았고 대우해양조선과 중견 조선소인 성동과 STX조선 등이 정부와 주채권은행의 감독하에 현재 강력한 구조조정을 벌이고 있다. 만성적자의 한국GM이 지난 5월 말 군산공장의 문을 닫고 경영정상화 작업에 들어가는 등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도 한창이다. 미국과 중국시장 판매 감소와 내수 위축으로 현대·기아차 3분기 실적은 시장의 기대치를 훨씬 밑도는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한때 세계시장을 호령했던 스마트폰 산업도 최상위 제품에서는 애플에, 중저가 제품에서는 화웨이, 비보 등 중국업체에 밀리면서 고전하고 있다. 대표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의 한파를 부품 협력업체인 중소 제조업체가 고스란히 맞고 있다. 견디다 못한 차 부품업체들은 지난달 정부에 3조원 규모의 긴급 자금지원을 요청했다.


중소 협력업체들이 다시 활기를 되찾으려면 자신들이 부품을 공급하는 대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지만 당장은 쉽지 않을 것 같다. 우리는 소규모 개방형 국가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하지만 미·중 무역 갈등, 미 금리 인상,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앞으로 수출 여건이 좋아질 가능성보다는 나빠질 가능성이 훨씬 크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중소기업들의 더 큰 걱정거리는 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국정감사 답변 등을 통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그런 만큼 11월 기준금리가 오를 공산이 작지 않다. 금리가 오르면 가장 타격을 입는 계층은 기업·가계의 취약계층이다. 산업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제조업체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9.3%다.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낮은 금리 덕분에 구조조정이 지연되며 버텨온 기업들이다. 지금처럼 중소 제조업 부진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은 줄도산을 몰고 올 수 있다.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계기업 퇴출은 필요하다. 다만 실업자가 양산되면서 급격한 고용 약화와 소비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당국은 무너져가는 중소 협력업체들을 방치해서는 안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