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北의 미사일 재건 움직임 정확한 의도 파악해야
상태바
北의 미사일 재건 움직임 정확한 의도 파악해야
  • .
  • 승인 2019.03.07 1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미사일 발사장을 재건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돼 의도가 주목된다.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미국을 압박하려는 제스쳐일 수 있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오지만, 정상회담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시작된 움직임일 가능성도 있는 등 폐쇄 동향의 일환이라는 의견도 있어 의도를 판단하기는 아직 일러 보인다. 국가정보원은 5일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서 북한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철거시설 가운데 일부를 복구하고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미국에서 5일(현지시간) 위성사진 분석을 통한 관련 동향 보도가 잇따르면서 점점 구체화하는 분위기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북한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를 통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수직 엔진시험대와 발사대의 궤도식 로켓 이동 구조물에서 재건 동향이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주로 닫혀 있던 연결타워의 덮개도 열려 발사대가 보인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도 레일식 이동 건축물이 다시 조립되고 있으며 벽이 세워지고 새로운 지붕도 추가되는 등 북한이 해제 작업을 진행하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일부 구조물을 다시 짓는듯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북미정상회담에 성공한 뒤 미사일 발사장을 폐기할 때 홍보 효과를 높이려는 목적과, 협상이 실패했을 경우 시설을 다시 미사일 발사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이 모두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의 시설 복구 동향을 보이는 정확한 의도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주목되는 움직임임이 분명하다. 동창리 발사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작년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한 시설로, 북한은 지난해 미국과의 협상이 시작될 무렵 이곳의 이동 구조물과 엔진시험대 등의 해체 작업을 시작한 바 있다.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와 함께 동창리 철거 동향은 북한의 선의의 제스처 중 하나로 인식돼 왔다. 혹시라도 시설 복구 동향이 북한이 미국과의 협상이 부진할 경우 걸을 수 있음을 올해 초 시사한 '새로운 길'에 대비한 것이 아니길 바란다.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지금은 상대를 자극하거나 오해를 불러올 수 있는 행동은 최대한 자제해야 함을 북한은 유념해야 한다.


미국도 대북 메시지를 더 신중하게 내놓을 필요가 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5일(현지시간) 한 인터뷰에서 "북한이 그것(비핵화)을 하지 않으려 한다면 우리는 제재를 강화하는 것을 들여다 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전에는 정상간 담판 테이블에서 오간 '빅딜 문서'까지 거론하면서, 시간은 트럼프 대통령의 편이며 김 위원장이 최대 압박으로 진짜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는 압박성 발언도 했다. 원론적 발언이더라도 북한을 자극할 소지가 작지 않은 언급이다. 하노이 핵담판 결렬 이후 양측이 신경전을 가열할수록, 비핵화 대화가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커진다. 압박보다는 차분히 협상 결과를 분석하고 비핵화 진전 카드를 모색해야 할 때다.


우리측 북핵 협상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미국측 카운터파트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6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만난다. 하노이회담의 상세한 결과를 청취하고 양국 간 평가를 공유하며, 포스트 하노이 대응 전략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을 전후해 한미 간의 소통에 허점이 있고, 이후 대응 전략에도 이견이 엿보이는 일부 신호가 감지돼 온 게 사실이다.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북미대화의 조속 재개는 한미 간의 공조에 빈틈이 없을 때 더 가속할 것이다. 일부 외신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한미 간의 엇박자나 이견을 우려하는 보도도 내놓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정부는 정확한 의도를 한미 공조하에 파악하고 대처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