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동해안 어촌마을 ‘소멸 위기’
상태바
동해안 어촌마을 ‘소멸 위기’
  • 춘천/ 김영탁기자
  • 승인 2019.02.21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태와 오징어 등 수산물이 넘쳐나며 강원 동해안 경제 중심지였던 어촌이 ‘마을소멸 우려 지역’으로 전락했다.

 저출산·고령화, 수산업 경제 침체→일자리 감소→인구감소→공공기관, 생활편의시설 감소→어촌소멸 위기라는 ‘인구감소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강원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정책메모 ‘강원도 동해안 어촌의 소멸위기와 대응’을 보면 1981년 15만6160t으로 전국 6.4%를 책임졌던 수산물 생산량은 2017년 5만374t, 전국 비중 1.3%로 급감했다.

 1970년과 견줘 2017년 어가 수는 89.1%가 줄었고, 어업인 수는 86.3% 감소했다.

 어업가구원 수는 무려 95.4% 줄었다.

 최근 5년(2014∼2018년)간 어촌인구는 6만3009명에서 6만714명으로 2295명 줄었다.

 전체 어촌의 69.2%에 달하는 45개 지역에서 인구감소가 나타났다.

 마을소멸지수 분석 결과 마을소멸 고위험(0.2 미만) 어촌은 25개로 전체의 35.7%가 마을소멸이 목전에 와있었다.

 마을소멸 진입(0.5 미만) 어촌은 39개로 절반이 넘는 55.7%였고, 전체 어촌의 마을소멸지수 평균은 0.28로 고위험 직전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의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0.2 미만은 마을소멸 고위험, 0.2∼0.5 미만은 마을소멸 진입(위험), 0.5∼1.0 미만은 마을소멸 주의로 본다.

 강원연구원은 2041년에는 마을소멸 고위험 마을이 52개로 증가하고, 마을소멸지수가 ‘제로’(0)인 마을도 10개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고령화 정도를 봐도 전체 90%에 달하는 63개 마을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강원연구원은 어촌 소멸위기 원인으로 어촌의 폐쇄성, 수산업 침체, 일자리 부족, 정주 여건 열악 등을 꼽았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어촌 지원조직 통합 운영과 역량 강화, 어촌계 구조조정과 체질 개선, 인구 유입을 위한 어촌 신 활력 체계 구축과 정주 여건 개선, 수산업 분야에서 소득과 일자리 창출, 해양레저와 어업인 소득 창출, 어촌체험 마을의 특화 상품화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