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문제열의 窓] 귀농·귀촌, 농촌을 변화시키는 힘
상태바
[문제열의 窓] 귀농·귀촌, 농촌을 변화시키는 힘
  • 전국매일신문
  • 승인 2021.06.15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제열 국립한경대학교 연구교수

2010년부터 농촌으로 돌아가겠다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면서 귀농·귀촌인구가 농촌회생의 기대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귀농(歸農)’이란 도시에서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에 정착하는 것을 뜻한다. ‘귀촌(歸村)’은 농촌에서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집은 농촌에 두고 도시로 출퇴근을 하거나 주말마다 내려와 텃밭을 가꾸거나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귀농·귀촌은 2019년 32만 9082가구, 45만 5968명으로 2018년보다 1만 1222가구, 2만 8561명이 줄었다. 귀농은 총 1만 1422가구로 경상북도가 2136가구(18.7%)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전라남도, 경상남도 순이다. 귀촌은 총 31만 7660가구로 경기도가 8만 3061가구(26.1%)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경상북도, 경상남도 순이다.

귀농은 농경지가 많고 상대적으로 땅이 넓고 값이 싼 영호남지역을 찾는 반면에, 귀촌은 전원생활의 여건이 좋고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도시 인근지역을 선호한다는 경향을 알 수 있다. 특히, 경기도는 수도권과 근접해 있어 의료·교육·문화·교통·자연환경 등이 잘 갖춰져 농촌과 도시가 공존 상생하는 귀촌의 최적지로 각광받고 있다.

귀농·귀촌패턴도 달라졌다. 귀농·귀촌인구는 1차 베이붐세대(1955~1963년생)에서 2차 베이붐(1968~1974년생)이후 세대로 확산되다가 2018년부터 5%정도 줄면서 잠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젊은 층이 부쩍 늘면서 귀농의 경우 50~60대 연령층이 전체 귀농인구 중 67.5%를 차지하며 귀촌은 평균연령이 41.4세이다. 이는 귀농·귀촌이 은퇴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증거로 생활형 귀농으로 바뀐다는 뜻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공동화(空洞化)된 농촌지역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정책’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먼저 지역여건을 감안해 안정적 정착을 위한 맞춤형 귀농·귀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농촌지역 전입일 기준으로 1년 이상 농촌이외의 도시지역에서 거주한 사람이 100시간 이상 귀농교육을 받고, 신용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농업창업자금과 주택구입 또는 주택 신축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농업창업자금은 영농기반, 농식품제조, 가공시설신축, 하우스설치, 농지구입 등을 위해 세대 당 3억 원 이내에서 연리 2%로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조건으로 지원한다. 주택구입 및 신축자금은 주거전용면적 150㎡이하인 주택을 대상으로 세대 당 7천 5백만 원 이내에서 연리 2%로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조건으로 지원한다.

정착이 완료되면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농업창업 지원이 이뤄진다. 젊은 귀농·귀촌인들이 파프리카, 토마토 등 고소득 작물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첨단스마트 온실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기술교육을 지원하는 것이 그 사례다. 아이디어로 무장한 귀농·귀촌인에 대한 자금지원도 있다. 이들에게는 민간의 창의성과 역량을 뒷받침해줄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귀농·귀촌인들이 약한 경영 부분에 대한 컨설팅이 그것이다.

농업은 농업생산 뿐만 아니라 가공유통, 외식과 농촌관광을 포함하는 종합산업이다. 교육·오락·복지·치유·친환경개선 등 광범위한 농업·농촌서비스 영역에서 새로운 농업창업 요소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귀농·귀촌의 성장 가능성도 크다. 젊은 인구들이 농촌에 뛰어들면 농촌의 고령화 문제가 자연히 해결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고령의 노인들만이 지키던 텅 빈 농촌은 활력을 되찾고 창업의 열기로 넘쳐날 것이다. 젊은이들 뿐 아니라 은퇴자들에게도 농촌은 분명히 기회의 땅이다. 일정한 소득이 없는 노후에 지속적 소득원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귀농·귀촌 활성화로 문재인 정부가 약속한 ‘사람이 돌아오는 농촌’이 실현됐으면 한다. 더 이상 희망 없는 땅이 아니라 농촌이 활력이 넘치는 우리의 미래가 되기를 바란다.

[전국매일신문 칼럼] 문제열 국립한경대학교 연구교수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