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속 자체 제창
상태바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속 자체 제창
  • 호남취재본부/ 서길원기자
  • 승인 2016.05.18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8기념식…원하는 참석자만 따라 불러
황교안 “5·18정신으로 선진사회 구현해야”
5·18단체들 참석…합창방식 갈등 여전
보훈처장, 유족 저지로 기념식 참석 못해
‘제36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거행됐다.
‘5·18 정신으로 국민화합 꽃피우자’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번 기념식에는 정부 주요 인사와 5·18 희생자 유족 등 3000여 명이 참석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았고 황교안 국무총리가 정부 대표로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 지도부는 이번 기념식에 총집결하다시피 했으며, 새누리당에선 정진석 원내대표가 자리를 함께 했다.
기념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제창, 순국선열 및 호국 영령과 5·18 민주화운동 희생 영령에 대한 묵념, 헌화 및 분향, 경과보고, 기념사,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의 순으로 약 20분 동안 진행됐다.
황교안 총리는 기념사에서 “우리는 5·18 정신을 밑거름으로 삼아 사회 각 부문에 민주주의를 꽃피우며 자유롭고 정의로운 나라를 건설하는 데 힘써왔다”며 “이러한 성취를 바탕으로 국민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성숙한 선진사회를 구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념식을 앞두고 논란을 빚었던 임을 위한 행진곡은 기념식을 주관한 국가보훈처의 결정대로 광주시립합창단과 스칼라오페라합창단이 합창하고 노래를 부르기 원하는 참석자들은 따라 불렀다.
기념식장 앞줄에 앉은 각계 주요 인사들 가운데 야권 인사들은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불렀고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의 경우 주먹을 흔들며 노래를 처음부터 끝까지 불렀다. 황교안 총리는 노래를 따라 부르지는 않고 묵묵히 서 있었다.
이번 기념식에는 지난 2년 동안 기념식에 불참했던 5·18 부상자회를 비롯한 3개 5·18 단체가 참석해 예년과는 달리 빈 자리가 거의 없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참상을 전 세계에 알렸던 독일 언론인 고(故) 위르겐 힌츠페터 씨의 유족들도 기념식에 참석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방식을 둘러싼 논란에도 기념식은 큰 무리 없이 진행됐으나 야권 인사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의 합창 방식에 대한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혀 갈등이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을 예고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기념식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떠한 경우에도 광주 시민과 국민이 원하고 그 영령들을 위해, ‘임을 위한 제창’ 법제화를 약속대로 하겠다”며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해임 촉구 결의안을 더불어민주당과 공조해 발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방식을 유지하기로 해 논란을 빚었던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5·18 유족들의 저지로 기념식장에 입장하지 못하고 자리를 떠났다. 보훈처가 주관하는 기념식에 보훈처장이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기념식에 앞서 5·18 민주묘지와 기념식장에서 일부 5·18 단체와 유족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과 제창을 요구하는 항의 시위를 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