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한국연구재단, 혈액 한 방울로 전립선암 진단·치료 예측
상태바
한국연구재단, 혈액 한 방울로 전립선암 진단·치료 예측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24.06.03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바이오마커 개발해 조직생검과 영상진단 단점 극복
전립선암 환자로부터 혈액샘플 채취 및 마이크로플루이틱 플랫폼을 활용한 혈중암세포 분리. [한국연구재단 제공]
전립선암 환자로부터 혈액샘플 채취 및 마이크로플루이틱 플랫폼을 활용한 혈중암세포 분리.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 방울의 혈액으로 전립선암 재발부터 진행, 약물치료 반응까지 정확하게 예측 가능한 혈중암세포 기반 PSMA 검사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인제대학교 정재승·한기호 교수와 서울대학교 변석수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중암 세포의 PSMA mRNA 농도를 측정하여 전립선암의 진단 및 치료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검사방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전립선암은 남성 암 중 발생률과 사망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현재 PSA검사, 조직생검 및 CT와 MRI 같은 영상진단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하지만, PSA 검사는 특이성이 낮고 조직생검은 통증이 수반되고 감염 위험 및 반복 검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기존 영상진단의 단점을 보완한 PSMA-PET CT가 도입되었지만, 반복적으로 자주 사용하기 어렵고 장비가 고가이며 장비 운용에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공동연구팀은 6년간 다기관-전향적 연구로 247명의 전립선암 환자를 추적·관찰하여 혈중암세포가 발현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 PSMA mRNA를 찾았다. 액체생검 기반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이용하면 단순 혈액검사로  전립선암의 재발과 진행, 그리고 약물치료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전립선암의 초기단계부터 전이단계까지 암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기존 조직생검과 PSMA-PET CT의 단점을 보완 또는 대체 할 수 있다.

나아가 약물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계획을 수립을 돕고 전립선암의 다양한 단계에서 치료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연구의 제1저자인 인제대 조형석 박사는 “혈중암세포 기반의 PSMA mRNA 검사법은 환자에게 최소한의 부담으로 최대의 진단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전립선암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정재승 교수는 “종양의 위치에 대한 공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PSMA 영상과 암세포의 활동성과 공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혈중암세포 기반 PSMA 검사를 결합하면 PSMA PET-CT의 위양성(False positive) 단점을 극복하고 전립선암의 진단 치료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암연구회(AACR)의 임상암연구회지(Clinical Cancer Research)에 5월 1일 온라인 게재됐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