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1기 신도시 '이주계획'에 주민 설문조사 결과 담는다
상태바
1기 신도시 '이주계획'에 주민 설문조사 결과 담는다
  • 이신우기자
  • 승인 2024.06.09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등 '이주단지' 계획 사실상 철회
국토부, 이달 말부터 설문조사…8월 공개 '정비 기본계획'에 반영
1기 신도시 생활권 2027∼2030년 입주물량 조사 실시
전문가들, 3기 신도시와 이주시점 연계·이주자금 대출지원 제언
1기 신도시로 조성된 분당신도시. [성남시 제공]
1기 신도시로 조성된 분당신도시. [성남시 제공]

정부가 1기 신도시 이주계획에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할 방침이다.

1기 신도시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 최소 1곳씩 '이주단지'를 세워 대규모 이주에 따른 전세시장 불안을 잠재우겠다는 계획은 사실상 철회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말부터 1기 신도시 주민들이 원하는 이주계획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이 설문조사에는 이주 희망 지역, 희망 주택 유형·평형,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 여부 등이 담길 예정이다.

국토부와 지자체는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이주계획을 신도시별로 세우는 정비 기본계획에 담을 계획이다. 기본계획 초안은 8월 중 공개한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네 번째)이 지난 5월 22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계획 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네 번째)이 지난 5월 22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계획 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계획대로 1기 신도시 정비가 진행되면, 올 연말 선정되는 재건축 선도지구 최대 3만9천가구를 시작으로 2027년부터 10년간 해마다 2만∼3만가구의 이주 수요가 생긴다.

앞서 국토부는 올해 1월 발표한 '1·10 부동산 대책'을 통해 내년부터 1기 신도시별로 1곳 이상 이주단지를 조성해 이주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분당을 중심으로 임대주택형 이주단지 조성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이 같은 계획을 밝힌 지 6개월도 안 돼 이주단지 조성 계획을 사실상 철회하고, '이주단지'라는 용어도 쓰지 않기로 했다.

인근에 고양 창릉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일산의 경우에는 주민들이 이주단지 조성으로 주택 공급이 더 늘어나는 것을 선호하지 않고 있다.

평촌신도시. [안양시 제공] 
평촌신도시. [안양시 제공] 

국토부는 3기 신도시 조성, 택지 개발 등으로 인근 주택 공급 물량이 많은 일산, 중동은 이주단지 조성이 불필요한 반면 분당과 평촌, 산본의 경우 주택 추가 공급이 필요하다고 보고 선도지구 지정 물량과 이주단지 공급 물량을 함께 발표하려 했으나, 이를 철회하고 주민 선호부터 다시 파악하기로 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2027년 착공, 2030년 첫 입주'라는 빠듯한 일정으로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벌어진 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국토부는 주택 인허가 시기를 조정해 민간 아파트 공급을 유도하고, 필요하다면 공공에서 신규로 소규모 주택개발을 진행해 1기 신도시 이주계획을 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7∼2030년 1기 신도시 생활권별 입주 물량을 조사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재건축 스케줄과 입주 물량을 맞춰보고 '미스매치'가 난다면 주택 공급량을 늘려야 한다"며 "이주단지에 대한 주민 거부감이 크다면 (임대주택이 아닌) 분양 주택을 지어 자연스럽게 전세시장에 물량이 나오도록 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