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의회 김재균 위원장, 평택항 발전 미래대응전략 토론회 개최
상태바
경기도의회 김재균 위원장, 평택항 발전 미래대응전략 토론회 개최
  • 한영민기자
  • 승인 2024.06.11 1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소항만 추진・항만배후도시 개발 등 평택항 발전 전략 논의
경기도의회 김재균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평택항 발전을 위한 미래대응전략과 경기도의 역할' 토론회가 최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김재균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평택항 발전을 위한 미래대응전략과 경기도의 역할' 토론회가 최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김재균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평택항 발전을 위한 미래대응전략과 경기도의 역할' 토론회가 최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11일 도의회에 따르면 이 토론회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4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의 일환으로 열렸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정태원 성결대학교 글로벌물류학부 교수는 경기 평택항 수소항만 수요예측과 국내·외 수소 항만의 추진 사례를 설명하며 수소에너지 인프라 시설 구축 방안에 대해 우리나라 전체 수요 수입 물동량 및 변수를 선정해 암모니아로 도입되는 방안을 기본으로 하고, 기술 발전을 고려해 액화수소 도입 반영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정수현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조교수는 "항만,공항 등 물류거점을 통한 세계시장 접근성을 제고하여 지역산업육성-인구 유입-도시성장-국가발전이 된다고 보고, 항만 주변 지역과 주민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입법 추진의 필요성과 인프라 투자는 산업생태계 조성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물류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현우 경기연구원 자치행정연구실 연구실장은 "지역산업 및 배후도시와 연계하여 항만·산업·주거 등이 복합적으로 발전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의 필요성, 물류 비즈니스를 통해 물류산업의 부가가치 극대화, 여객 및 화물서비스 확충, 전자상거래 물류단지 특화개발, 중소기업 공동물류 수송 체계 마련, 친환경 스마트 항만시설 구축, 복합 수송 체계 연계 구축 추진 등 평택항이 발전하기 위한 단거리 수송을 활성화한 틈새시장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황두건 경기평택항만공사 항만사업팀장은 "해양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로 수심 증심, 같은 배후 경제권을 가진 인천항보다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전략의 필요성, 넓은 항만배후단지를 활용한 제조 물류 시설의 유치 및 확장의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토론을 맡은 김종식 평택당진항발전협의회 고문은 평택당진항은 중국 산둥반도와 최단 거리에 있는 지리적 위치 강점과 자동차 물동량 처리 국내 1위 배후단지와 현덕지구가 개발 중인 강점을 살려 자동차 쇼룸, 연구시설, 자동차 부품 등 자동차 관련 사업 발전이 필요한 점과 평택시뿐만 아니라 경기도민과 충남도민에게 항만 아카데미를 확산시켜 도민과 정치인들의 관심의 필요성을 꼽았다.

권용숙 도 물류항만과 물류항만정책팀장은 "해수부와 평택시 등 관계기관과 힘을 모아 평택항 인프라 확충과 활성화를 추진하고, 부산항·인천항 같은 우수 항만을 벤치마킹하여 평택항에 접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좌장을 맡은 김재균 위원장은 "무엇보다 평택항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전제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경기도 차원의 특화된 정책과 지원을 함께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