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용산구, 복지재단 출범식 개최
상태바
용산구, 복지재단 출범식 개최
  • 박창복기자
  • 승인 2016.06.08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선6기 성 구청장 최대 역점사업…지난달 재단 설립 마무리
기본재산 43억 확보…2020년까지 100억 조성 목표

▲용산복지재단이 들어선 한남동 공영주차장·복합문화센터 전경.

 서울 용산구(구청장 성장현)가 민선6기 최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온 용산복지재단 설립을 지난달 마무리했다.

구는 지역의 빈부격차를 해소하고 복지사각지대에 위치한 소외된 이들의 세분화된 욕구를 만족시킬 방안을 모색하던 중 민간과 함께하는 복지재단을 설립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지역특성에 맞는 새로운 기부문화를 창출하고 복지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배분코자 한다. 

현재 구에서 추진 중인 100억 꿈나무 장학기금이 순수하게 구 예산으로 출연한 기금이라면 용산복지재단은 기금 조성부터 운영까지 모든 과정을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에 맡긴다. 재단 운영의 영속성을 꾀하기 위해서다. 관이 아닌 이웃이 이웃을 돕는다는 취지다.

구는 지난해 1월 복지재단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를 추진한데 이어 같은 해 5월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재단 설립 방침을 수립했다. 8월에는 용산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공포해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 지난 3월 발기인 28명이 해밀톤호텔에 모여 총회를 가졌으며 5월 11일 서울시로부터 최종 재단 설립허가를 받았다.

복지재단 설립을 위해서는 기본재산이 20억 원 이상 돼야 한다. 현재까지 확보한 용산복지재단의 기본재산은 43억 원이다. 구 출연금 10억 원 외에 민간기부 38건 33억 원이 포함돼 있다. 

▲조성삼 복지정책과장이 故 강천일 어르신 장례식에서 상주를 맡았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로 생활하며 전재산 3600만원을 기부하고 생을 마감한 故 강천일 어르신을 비롯해 아모레퍼시픽(주), HDC신라면세점(주), (주)서부T&D, 현대산업개발, 배우 견미리 등 여러 기업과 지역 인사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기부에 참여했다. 2020년까지 100억 원을 모을 예정이다.

가족을 대신해 故 강천일 어르신 상주 역할을 맡은 조성삼 용산구 복지정책과장은 “어르신이 평생 독신으로 살며 빌딩 청소원, 가락시장 짐꾼, 구두닦이 등으로 한 푼 한 푼 모아둔 소중한 돈”이라며 “우리가 그 마음을 잘 지키고 또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이태원 해밀톤호텔에서 개최한 용산복지재단 발기인 총회에서 앞줄 중앙 용산구청장과 승만호 이사장, 배우 견미리 등이 나란히 앉았다.

이를 위해 구는 9일 오후 3시 용산아트홀 대극장에서 복지재단 출범식을 갖는다. 구청장, 재단 임원 및 발기인, 지역주민 등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재단설립 경과 및 운영계획을 보고하고 감사패를 증정한다. 현악4중주 식전행사와 가수 해바라기의 축하공연도 진행할 예정이다.

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는 승만호 (주)서부T&D 대표이사가 선출됐다. 승 대표는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이어왔을 뿐만 아니라 용산복지재단 설립에도 큰 역할을 했다는 평이다.

재단은 이후 지역 내 사회복지기관의 총괄 허브로서 복지자원을 발굴·관리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해 구 특성에 맞는 복지 시스템을 정착해 나간다.

위기가정 발굴 및 지원사업, 저소득층 1:1 결연사업,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지원사업 등을 준비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조사연구도 병행한다. 사무실은 지난달 준공한 한남동 공영주차장·복합문화센터 2층에 들어섰다.

관심 있는 주민은 누구나 복지재단의 후원자가 될 수 있다. 계좌입금 또는 재단 방문을 통해 후원이 가능하다. 법정기부금 세액공제 등 관련 문의는 용산복지재단(☎ 2074-9191)으로 하면 된다.

성장현 구청장은 “故 강천일 어르신을 비롯해 많은 분들의 정성이 모인 용산복지재단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며 “복지재단을 통해 100년이 흘러도 튼튼하게 유지되는 복지용산을 만들어 가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