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檢, 안종범 전 수석에 칼 끝 겨누나
상태바
檢, 안종범 전 수석에 칼 끝 겨누나
  • 서정익기자
  • 승인 2016.11.02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찰이 최순실 씨(60·최서원으로 개명)를 1일 긴급체포하면서 향후 수사가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을 향해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 전 수석은 미르·K스포츠재단이 청와대와 연관됐다는 의혹을 풀 핵심 인물로 꼽힌다. 재단을 둘러싼 관계자들이 하나같이 안 전 수석이 깊숙이 개입됐다고 입을 모으고 있기 때문이다.
 안 전 수석은 미르·K스포츠재단이 국내 대기업들에 8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모금하는 과정과 운영 전반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그는 당시 기업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청와대 경제수석이었다는 점에서 ‘강제모금’의 배후로 의심받는다.
 이석수 전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 역시 이런 첩보를 입수하고 그를 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검찰에 출석한 정현식(63) K스포츠재단 전 사무총장은 안 전 수석과 밀접하게 연락을 했는지에 관한 취재진 질문에 “가끔 연락했다”고 시인했다.
 또 언론 인터뷰에서 안 전 수석과 최씨의 지시를 받아 SK에 80억원을 요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안 전 수석은 “모르는 일이다”라고 부인했지만, 정 전 사무총장은 “그건 이제 그분의 생각”이라고 되받아치면서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정 전 사무총장의 폭로가 이어지자 안 전 수석은 관련 의혹을 은폐하려고 차명 휴대전화(대포폰)를 이용해 접촉을 시도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안 전 수석은 최씨의 개인회사인 더블루케이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만나는 등 최씨를 도왔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더블루케이의 초대 대표이사를 맡았던 조모씨는 “재직 시절 안종범 수석, 김상률 전 수석, 김종 차관을 만난 적이 있다”면서 “모든 것은 다 최씨의 지시였다”고 밝혔다.
 조씨는 이를 입증할 관련 자료를 검찰 조사 때 제출했다.
 특히 더블루케이가 3천억원에 달하는 평창올림픽 시설 공사 수주를 위해 스위스의 스포츠전문 건설회사인 누슬리와 공동으로 나설 당시에 안 전 수석이 관련 행사에 참석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나왔다.
 하지만 안 전 수석은 “기본적으로 난 최순실이니 더블루케이니 전혀 모른다”고 해명했다.
 검찰은 지난달 29일 안 전 수석의 자택과 청와대 사무실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두 재단 관련 서류와 최씨 관련 자료, 휴대전화, 이메일 등을 확보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