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2野,2선 후퇴 압박속 '다음 수'고심
상태바
2野,2선 후퇴 압박속 '다음 수'고심
  • 이신우기자
  • 승인 2016.11.11 08: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10일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퇴진 압박을 이어갔다.
 이에 따라 지도부는 강경투쟁 모드를 유지하는 동시에, 청와대의 프레임에 말리지 않기 위해 총리 후보 논의를 삼가라고 하는 등 내부 단속을 통한 ‘단일대오’ 다지기에 집중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지도부가 대통령의 2선 퇴진을 관철할 뚜렷한 전략없이 지나치게 여론에 의존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자성도 나왔다. 장외집회가 끝난 후에도 대통령의 태도변화가 없다면 ‘다음 수’가 마땅치 않다는 지적이다.
 총리 추천 문제만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교섭해 사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상대의 제안을 무작정 거절하는 모습으로만 비친다면 국정공백 장기화의 책임론이 야권에 제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번졌다.
 앞서 당 안팎에서는 전날 미국 대선 결과 트럼프 후보가 예상을 깨고 당선되는 등 외교적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민주당과 국민의당도 강경모드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날 두 야당 지도부는 여전히 “장외집회가 열리는 12일까지 대통령의 2선 퇴진이 없다면 정권퇴진 투쟁을 시작할 수밖에 없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는 모습이었다.
 민주당이 국회에서 소집한 의원총회에서는 “이제는 하야 투쟁을 준비할 때가 됐다”, “12일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정권퇴진 투쟁에 나서야 한다” 등 강경 발언이 쏟아졌다.
 여기에는 ‘최순실 게이트’를 바라보는 여론이 여전히 폭발 직전이라는 점에서 장외집회가 대통령을 더욱 구석에 몰아붙일 수 있다는 계산이 담겨있다.
 추미애 대표는 의총에서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집중하고, 나머지 정치적 상상과 제안은 국민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는 당내에서 총리후보에 대한 논의도 지금은 삼가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자칫 총리 후보 추천 문제로 초점이 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의총 후에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헌법을 파괴하지 않았나. 국민들도 분노하는 상황”이라며 국정공백 장기화 부담에 대해서는 “너무 급하게 가도 안되고, 너무 서서히 가도 안 된다. 민의와 함께 가야 한다”고 했다.
 기동민 원내대변인도 의총 브리핑에서 “국정조사, 별도특검, 대통령 2선후퇴 및 총리 전권위임이 안되면 퇴진투쟁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고 재차 확인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안철수 전 상임대표 등은 이날 서울 홍대입구역에서 박 대통령 퇴진 촉구 서명운동을 벌이면서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이처럼 두 야당 지도부는 강경모드를 고수했지만 당내에서는 뚜렷한 해법제시 없는 ‘무책임한 버티기’로 국민들에게 비난받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의 제안을 외면하는 것에 대해 말들이 많다”며 “국민이 보기에는 야당이 정확하게 요구하지도 않은 채 애매한 요구만 내놓고 답변이 오면 또 튕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초선의원도 “당장 여론에 힘입어 압박하는 것은 좋지만, 박 대통령은 전혀 변할 것 같지가 않다”며 “이후 계획에 대해서는 아무 대책이 없다. 일단 총리를 어떻게 추천할지 논의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