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南北대치 장기화' 인천시, 대북교류사업 '올스톱'
상태바
'南北대치 장기화' 인천시, 대북교류사업 '올스톱'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6.11.17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개성공단 폐쇄 이후 남북 대치 국면이 이어지면서 올해 계획된 인천시의 대북교류사업이 모두 무산됐다.
 먼저 1월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던 인천유나이티드FC와 평양 4.25축구단의 친선 축구경기가 성사되지 못했다.
 인천FC와 평양 축구단은 2014년과 2015년 중국에서 친선경기를 열었지만,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여파로 3년 만에 친선경기 명맥이 끊겼다.
 계양구청 양궁팀과 북한 4.25체육단이 참가하는 ‘남북 활쏘기 대회’도 기획 단계에서 진척이 없다.
 강화도조약 체결 140주년을 맞아 2월 강화도에서 남북 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던 남북 공동 학술대회도 구상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말라리아 예방·치료 등 인도적 지원사업조차도 남북관계 악화로 올해는 전면 중단됐다.
 이러한 가운데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은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올해 남북교류사업이 대부분 중단돼 지출 비용이 늘어나진 않았지만, 시가 기금 추가 적립을 5년째 중단한 탓에 최소한의 교류사업만 가능할 정도의 기금만 유지되는 실정이다.
 시는 북한과 접한 지리적 특성을 활용, 대북 물류 전진기지의 위상을 정립하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130억원의 남북교류기금을 조성했다. 이 중 114억원을 집행해 남북교류기금 잔액은 16일 현재 16억원이다.
 2011년까지만 해도 기금 잔액은 40억원에 달했지만, 이후 시 재정난 때문에 기금을 추가 적립하지 않은 데다 남북관계 경색에 따라 기금 적립을 외면한 탓에 기금잔액이 크게 줄었다.
 남북관계가 다시 해빙될 상황에 대비, 남북교류기금 적립을 일정 부분 재개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지만 시 예산 책정 순위에서 늘 뒷순위로 밀리기 일쑤다.
 시는 남북교류기금이 의무적으로 일정액을 적립해야 하는 법정기금은 아니라며, 남북관계 추이를 지켜보며 기금 추가 적립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로서는 직접적인 남북교류사업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 내년에는 통일 공감대를 확산하는 사업에 주력할 계획이다.
 인천지역 군·구, 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통일강좌’를 열고 고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8월에는 초등학생·중학생 대상 통일 캠프를 운영하고,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서해 5도 통일안보체험교육도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당분간은 중앙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고려하며 시 차원의 남북교류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기금 적립을 재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