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형 영구임대주택 '우리집 1만호' 스타트
상태바
  인천형 영구임대주택 '우리집 1만호' 스타트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6.12.16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시는 15일 300만 인천시대에 저소득층, 사회적 약자가 생활권 내에서 자립, 공동육아, 복지시설 연계 등 다양한 유형의 주택에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인천형 영구임대주택인 ‘우리집 1만호’를 2026년까지 건설한다고 밝혔다.
 인천형 영구임대주택인 ‘우리집’은 재정투입을 최소화 하면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못 생긴 땅, 버려진 자투리 땅, 공영 주차장, 그린벨트, 공원, 도로 등 활용도가 낮은 국공유지를 활용하게 된다.
 또 기초생활수급자 중 가족구성원이 1~2인 가구가 76%가 넘는 현실을 고려해 수요자의 생활권 내에 소규모로 건설한다.
 아울러 경제적·신체적·정신적으로 돌봄이 필요한 사회적 약자의 맞춤형 수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자립기반주택, 협동조합주택, 사회복지시설 연계주택 등 수요자의 삶의 질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유형의 다양한 ‘우리집’을 개발하게 된다.
 특히 시는 ‘우리집 1만호’ 건설을 추진하기 위해 역량 있는 건축가 등 민간전문가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실제로 못생긴 땅, 버려진 자투리 땅이 가진 한계를 민간전문가의 디자인 역량으로 극복해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다양한 입주자에게 맞춤형 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집’ 건설에 소요되는 8000억 원의 예산은 도시·주거환경정비기금과 국비(주택도시기금)를 활용하게 된다. 내년에는 ‘기존형 우리집’ 490호와 ‘자립기반형 우리집’ 10호를 국공유지 중에서 가용용지에 우선적으로 공급한다.
 김기문 시 주거환경정책과장은 “시정운영 방향의 첫 번째 핵심과제인 ‘시민의 행복이 정책의 최우선 가치’원칙에 따라 주거 복지주권 실현을 위한 ‘우리집 1만호 공급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있어 시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우리집 프로젝트’는 너와 나 그리고 이웃, 시와 각 군·구, 모두가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협력할 때 성공할 수 있는 사업으로 우리의 손길이 필요한 이웃들에 삶이 행복해질 수 있도록 시민 모두가 협조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