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한해 10만명 육박
상태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한해 10만명 육박
  • 이신우기자
  • 승인 2017.03.19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간 2배로…30~50대서 주로 발생
70대 이상 노인 환자 증가세 두드러져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한해 10만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 환자는 5년간 2배로 늘었고, 30∼50대가 70%가량을 차지했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보면 공황장애 진료인원은 2010년 5만945명에서 2015년 10만6140명으로 5년간 연평균 15.8% 증가했다.


이 기간 남자 환자는 2만6198명에서 4만9669명으로 연평균 13.6%, 여자는 2만4747명에서 5만6471명으로 연평균 17.9% 증가했다.


2015년 연령별 환자 수를 보면 40대가 2만7326명(25.7%)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50대(22.6%), 30대(17.6%) 순이었다. 30∼50대 환자는 전체의 65.9%를 차지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40대 310명, 50대 275명, 70대 269명 순이었고, 여성은 40대·60대가 각각 316명, 50대 314명으로 엇비슷했다.


40대 이후에 공황장애 환자가 많아지는 이유는 이 시기에 직장, 건강, 결혼, 자녀교육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인구 10만명당 환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70대 이상이었다. 이 연련층 환자 수는 2010년 82명에서 2015년 276명으로 3.4배로 증가했다. 노년층이 겪는 경제적·사회적 소외가 공황장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숨이 막히는 느낌, 어지럽고 쓰러질 것 같은 느낌, 가슴에 통증이나 불편감, 죽을 것 같은 공포 등을 겪는 질환이다.


증상은 보통 10분 안에 최고조에 달한다. 발작은 20∼30분 지속되고, 1시간을 넘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신경 전달물질시스템 이상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원인과 부모 상실이나 분리 불안 등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