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항 ‘첨단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조성 삐걱
상태바
인천항 ‘첨단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조성 삐걱
  •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7.07.26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항만公·인천시, 2025년까지 39만6천㎡규모 단지 조성 계획
중구의회·인근 주미들, 교통난·환경피해 가중 우려 강력 반발

 인천항에 첨단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가 삐걱대고 있다.
 26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인천시와 공동으로 오는 2025년까지 인천 남항 배후단지 39만 6000㎡에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를 단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1단계로 오는 2020년까지 인천 중구 연안동 제1국제여객터미널 컨테이너 야적장 11만 8000㎡에 주차타워, 경매장, 검사장, 세차장 등 기본시설을 배치한다.
 2단계는 오는 2022년까지 기존의 컨테이너 복합물류창고 용지 8만 5000㎡에 자동차 정비시설, 공원, 교육시설 등을 조성하고 3단계로 다른 지역으로 옮길 예정인 석탄 부두 자리 19만 4000㎡에 수입차 출고 전 점검센터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인천항은 지난해 기준으로 총 19만 7000대의 중고차를 수출해 국내 전체 중고차 수출 물량의 86.2%를 처리했다.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는 중고차 선적이 이뤄지는 인천 내항 5부두에서 가까운 남항 배후단지에 첨단 인프라를 갖춘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를 구축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수출 매매단지의 고정 종사원 등 상주인구만 2000명이고 차량 매매 고객과 경매 참여 고객 등 유동인구가 3000명 달해 1000억 원 규모의 생산유발 효과와 570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인천 내항과 남항이 있는 중구 의회와 항만 인근 주민은 이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있다.


 애초부터 잘못된 도시계획으로 중구 일대 주거·상업지와 석탄 부두, 저탄장 등 항만 물류시설이 너무 인접한 탓에 수십 년간 환경피해를 봤는데 자동차 물류단지가 교통난과 환경피해를 가중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중구의회는 자동차 물류클러스터 조성 반대 공식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물류산업시설을 주거지와 분리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는 세계적 추세를 고려해 인천 연안부두 일대는 주민을 위한 친수복합항만으로 조성해야 한다”며 “호주 시드니 항처럼 쾌적하고 활기 넘치는 친수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자동차 물류단지가 조성되면 지역주민의 가장 큰 걱정인 남항 일대 교통 혼잡이 오히려 완화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설득에 나섰다.


 기존의 컨테이너 야적장과 석탄부두가 자동차 물류단지로 바뀌면 연간 16만 대가량의 트레일러가 다니던 도로에 4만 대 정도의 카캐리어(자동차 운반차량)가 운행해 통행량이 많이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또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스카이워크와 수변공원도 조성할 계획이어서 주민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관광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공사 관계자는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사업인 만큼 관련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조해 지역주민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