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같은 병원 전기화재’ 세브란스는 달랐다
상태바
‘같은 병원 전기화재’ 세브란스는 달랐다
  • 임형찬기자
  • 승인 2018.02.04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재신고·스프링클러 작동 등 절차대로 대응…밀양 세종병원과 차이

지난 3일 오전 불이 난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의 발화 원인은 경찰과 소방당국의 초기 분석에 따르면 전기 합선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26일 경남 밀양시 세종병원 화재와 원인은 비슷했지만, 병원 측 대처에 따라 결과는 아주 달랐다.


3일 병원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화재는 이날 오전 7시 56분께 본관 3층 건물 우측 5번 게이트 천장에서 발생해 약 2시간 만인 9시 59분께 완전히 진화됐다.
아직 공식 분석은 나오지 않았으나, 소방당국 등은 발화 원인을 전기 합선으로 추정하고 있다.


밀양 세종병원 화재의 발화는 건물 1층 응급실 안 환복·탕비실의 천장 배선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게 지난달 30일 경찰이 실시한 현장감식에서 내려진 잠정 결론이다.


발화 원인은 유사했지만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4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참극이 됐고 세브란스병원 화재는 별다른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됐다. 차이는 병원이 신속하고 침착하게 대응했는지 여부와 안전설비의 유무였다.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화재 발생 직후 신속히 신고를 했고 소방설비 작동과 환자 대피 등도 빠르게 이뤄졌다. 그러나 밀양 세종병원은 스프링클러 등 설비가 미비했으며, 심지어 화재 당일 신고가 늦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경남지방경찰청에 따르면 밀양 세종병원에서 응급실로 연기가 들어온 시각은 오전 7시25분이었으나 최초 신고 시각은 오전 7시32분이다.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불이 나자마자 소방당국에 신속하게 신고하고, 평소 숙지한 화재관리 매뉴얼에 따라 대응했다"며 "스프링클러도 바로 작동됐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