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김정은 ‘비핵화 의지’ 합의문에 담기나
상태바
김정은 ‘비핵화 의지’ 합의문에 담기나
  • <남북정상회담특별취재반>
  • 승인 2018.04.26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 대해 어떤 논의를 하고 합의문에 어떻게 반영되느냐가 회담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군사적 긴장완화를 포함한 항구적 평화정착,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 등 다른 의제들도 있지만 비핵화에서 진전이 없다면나머지 의제들에서도 의미 있는 논의를 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남북정상회담에서의 비핵화 논의는 ‘5월 또는 6월 초’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의 밑그림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더한다. 일단 회담을 앞두고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직·간접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되고 있어서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달 초 문 대통령 특사단과의 만남, 지난달 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이달 초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지명자와의 회동 등에서 ‘조건만 맞는다면 비핵화를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은 또 20일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고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중단하는 조치를 결정했는데, 정부는 북한이 비핵화를 향한 진정성을 보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에서도 이런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어져 최소한 비핵화에 대한 원칙적인 합의는 가능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문 대통령 특사단이 평양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난 뒤 돌아와 전한 내용이 이번 남북 정상 간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언론발표문에는 ‘북측은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하였으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하였다’고 돼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의지를 직접 밝히고 관련 사항이 합의문에 명시된다면, 이것만으로도 전례 없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직접 서명한 문서에 비핵화 의지가 담긴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1992년 발효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은 남북한 총리가 서명했고, 2007년 남북정상회담 합의문에는 ‘남북은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을 위해 6자회담 9·19공동성명과 2·13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되도록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고만 돼 있다.
 남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시한이나 상응 조치 등 세부적인 사항들이 더 논의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북한이 비핵화의반대급부로 원하는 ‘군사위협 해소’와 ‘체제안전 보장’이 우리보다는 미국이 제공할 수 있는 사안들이어서다.
 일각에선 예상을 뛰어넘는 과감성을 종종 드러내 온 김 위원장이 핵 사찰 수용, 주한미군 주둔 용인 등의 발언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지만, 설사 그렇더라도 합의문에까지 담기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남북정상회담에서는 무리하지 않고 비핵화에 대한 원칙적 합의를 하는 데 집중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끌어내기 위한 길잡이 역할만 해도 성공적이라는 관측이 많다.
 한편 비핵화가 남북 정상 차원에서 제대로 논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