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원주 지역사회 "캠프롱 미군기지 조속 반환을"
상태바
원주 지역사회 "캠프롱 미군기지 조속 반환을"
  • 원주/ 안종률기자
  • 승인 2018.09.13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양오염 정화 비용 부담 싸고 줄다리기…2016년 매입대금 완납하고도 지연

    강원 원주시 옛 미군기지인 캠프롱에 대한 반환이 장기화하면서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원주시 태장동 일원 34만4332㎡ 규모의 캠프롱은 지난 1951년부터 미군이 주둔해 있다가 2010년 6월 평택으로 이전한 뒤 부지가 8년째 방치되고 있다.

    이곳은 2013년 6월 원주시가 국방부와 토지매입 협약을 체결하고 2016년 3월 665억원을 완납했다.

    그러나 토양 오염 정화 비용 부담을 둘러싸고 미군과 환경부가 줄다리기를 벌이는 데다 최근에는 미군 측이 원주를 비롯해 인천과 동두천 등 3개 기지를 일괄 동시 반환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부지 매입비를 완납하고도 넘겨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캠프롱의 토양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돼 조기반환에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환경공단이 토양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TPH와 벤젠, 카드뮴, 아연 항목이 토양 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토양 오염 우려 기준이 1㎏당 500㎎인 TPH의 경우 캠프롱에선 최고 18배에 달하는 9천12㎎이 검출됐다.

    벤젠은 기준치의 5.9배인 5.9㎎이 검출됐고, 카드뮴은 기준치의 1.5배인 88.73㎎, 아연은 기준치의 2.8배인 1663.1㎎이 각각 검출됐다.

    미군의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한 오염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반환된 미군기지 54곳 중 24곳에서 오염물질이 확인됐지만, 미군이 정화비용을 부담한 사례는 없다.

    원주지역에서는 2015년과 2016년 범시민대책위가 캠프롱 부지 조기반환 촉구 시민 서명운동을 벌여 정부에 전달했으며 그동안 총 88회에 걸쳐 중앙부처를 방문, 반환을 건의했다.

    원주시는 최근에도 캠프롱 반환을 앞당기기 위해 국무조정실과 국방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를 잇달아 방문했으나 주한 미군의 일괄 반환 방침을 재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와 관련해 강원도상공회의소협의회는 13일 동해시에서 회의하고 '원주 미군 공여지(캠프롱) 반환 촉구 건의문'을 채택해 국무조정실과 외교부, 국방부, 환경부 등에 발송했다.

    협의회는 건의문에서 "주한 미군 공여지에 대한 국방부의 일괄 반환 추진이 오히려 지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매입 대금을 완납한 캠프롱은 환경오염 치유 협상을 조속히 추진해 우선 반환해 달라"고 촉구했다.

    원주시 관계자는 "반환이 늦어지면서 이곳에 1천100억원을 들여 추진할 예정이었던 문화체육공원 조성사업도 차질을 빚고 있다"며 "이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상실감은 물론 폐쇄지 방치와 개발 지연으로 도시미관을 크게 해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