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원인 모르는 ESS 화재…전국 1300곳 안전점검
상태바
원인 모르는 ESS 화재…전국 1300곳 안전점검
  • 이신우기자
  • 승인 2018.11.29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S 설치 기준 강화…“추가 사고 발생시 고위험 ESS 가동중단”

 최근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한 안전점검에 정부가 나섰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부터 ESS 사업장에서 화재가 총 15건 발생하고 이달 들어서도 4건이나 발생하는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어 ESS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정부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밤이나 바람이 없는 날 등 태양광과 풍력이 전기를 생산할 수 없을 때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꼭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ESS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가 이어지며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문제는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ESS가 우리나라에 보급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첫 ESS 화재는 지난해 5월에 발생했고, 올해 14건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인을 알면 화재가 더 일어나지 않도록 대응할 텐데 워낙 새로운 시스템이라 다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할 뿐 정확한 원인을 모른다”고 말했다.
 ESS의 핵심인 배터리 업체들도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화재 총 15건 중 이달 발생한 4건을 포함한 8건은 LG화학이 배터리를 납품한 ESS에서 발생했다. 나머지 6건은 삼성SDI, 1건은 탑전지가 납품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ESS 사업장 중 700여곳에 삼성SDI가 배터리를 납품했으며 400여곳은 LG화학이다.
 산업부는 내달부터 내년 1월까지 국내 총 1300개 ESS 사업장에 대해 안전진단을 할 계획이다.


 LG화학, 삼성SDI, 한국전력 등 ESS 관련 업계와 전문가, 유관기관 등 민관 합동으로 진행된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다중이용시설을 우선 점검한다.
 긴급 차단 등 안전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은 관련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더라도 업계가 자발적으로 도입하도록 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시공 능력을 충분히 갖춘 시공사가 ESS를 설치하도록 공공기관 발주사업에 참여하는 시공사 자격 강화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ESS 설치기준 강화와 다중이용시설 내 설치하는 ESS의 용량 제한도 검토한다.
 ESS 국제표준이 마련되는 대로 국내에도 관련 기준을 신속히 도입할 방침이다. 현재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 등 개별 부품에 대한 국내외 표준이 있지만, ESS 전체에 대한 표준이 없다.


 산업부는 이날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관계부처, 업계와 회의하고 이런 내용의 대책을 설명했다.
 산업부는 추가 사고가 발생할 경우 고위험 ESS 사업장에 가동중단 조치를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업계 모두가 협력해 안전성 강화와 사고 예방조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보완대책을 시행하면 단기적으로 업계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