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노원구, 자동심장충격기(AED) 확대·점검 통해 심정지 환자 생존율 높여
상태바
노원구, 자동심장충격기(AED) 확대·점검 통해 심정지 환자 생존율 높여
  • '
  • 승인 2014.05.27 1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서울> 백인숙 기자= 서울시 노원구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구비, 의무지역에 확대 설치하고 일제 점검을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구에 따르면 응급장비 구비의무 대상은 ▲공공청사 ▲공공보건기관 ▲구급차 ▲지하철 역사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등이다. 공공청사와 공공보건기관, 구급차, 지하철 역사에는 설치율이 100%인 점을 감안, 구는 우선 응급장비 구비의무 대상 지역 가운데 하나인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자동심장충격기를 확대 설치한다.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는 현재 347대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돼 있는 상황으로, 구는 미설치 공동주택 45개소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치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쇼핑몰, 식품접객업소와 같은 다중이용시설에도 설치 권장 안내문을 발송해 응급상황 발생 시 초동적인 대처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계획이다.구는 지난 4월부터 5월 중순까지 한 달 보름에 걸쳐 자동심장충격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별 자체 점검에 이어, 내달 30일까지 자체 점검표를 제출하지 않은 기관에 대해 노원구 CPR 지도자(15개조 31명)를 활용, 권역별 방문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점검 분야는 ▲관리자 지정여부 ▲보관함 상 기기 위치안내 및 비상연락망 표시 여부 ▲자동심장충격기 작동 여부 ▲배터리 표시상태 ▲본체 및 패드, 배터리 유효기간 ▲매뉴얼 등 부속품 구비 여부 등 19개 분야다. 일제 점검 후에는 노원구 전체에 소재한 자동심장충격기를 대상으로 3개월에 1회씩 보유기관별 자체점검을 실시함과 동시에 설치의무 기관대표자를 정·부 책임자로 지정해 시설물 관리에 대한 책임성도 강화한다. 한편 구에서 실시하고 있는 심폐소생술 교육은 평일 하루 3차례 어린이, 학생, 성인 및 가족, 단체 등 각계각층의 주민들을 위해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토요일은 물론 수요일 야간교육까지 진행되고 있어 교육을 원하는 주민들의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또 구는 지난 2012년 5월 심폐소생술 교육장 개장 이후 2012년에는 1만7400명이, 지난해에는 1만8340명 등 총3만5740명이 교육을 이수 받았다. 궁금한 사항은 구 의약과(02-2116-4372)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