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식약처, 국내유통빵류 199품목...당류 및 트랜스지방 함량조사 결과 발표
상태바
식약처, 국내유통빵류 199품목...당류 및 트랜스지방 함량조사 결과 발표
  • 백인숙기자
  • 승인 2019.08.21 1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신문 백인숙기자>

 

 

<전국매일/서울> 백인숙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시중 유통중인 빵류의 당류·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국내 빵류의 총내용량(149g) 중 평균당류 함량이 23g으로 1일 당류 섭취권고량(50g)의 46%를 차지하며, 트랜스지방은 총내용량(128g)당 평균 0.03g으로 1일 섭취권고량(2.2g)의 1.3%수준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어린이․청소년들의 당류섭취가 섭취권고비율(10%) 보다 높아 비만관리 등을 위해 당류가 적은 빵을 선택하고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돕는 한편, 당류 및 트랜스지방 저감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대상은 마트․편의점 및 베이커리 전문점에서 소비자가 즐겨먹는 빵류 199종[가공빵 119개(국내 83개, 수입 36개), 조리빵(국내 80개)]에 대한 당·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분석했다.

 

국내 빵류를 통한 당류섭취는 총내용량당(149g) 평균 당류 함량이 23g으로 초코우유(약22g)와 함께 섭취하면 WHO 1일 당류 섭취 권고량의 90% 수준으로 당류를 과잉 섭취할 우려가 있다.

 

어린이, 청소년들이 즐겨먹는 빵은 당류가 적은 것을 선택하고 초코우유, 딸기우유나 탄산음료보다 흰 우유, 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당 함량이 가장 높은 빵은 참참만쥬(샤니) 320g중 110g, 밤식빵(뚜레쥬르) 460g중 101g, 가장 낮은 것은 말차소라빵(푸드코아) 100g중 2g, 미니데니쉬(뚜레쥬르) 22g중 1g이며 제품 특성 및 제조방법에 따라 당류함량이 다양했다.

 

■수입빵은 대용량 판매로 국내빵보다 당 함량이 높아 섭취량 조절 필요

케이크빵류 총내용량 중 당류는 국내 95g(50~150g)중 31g(16~50g), 수입 515g(70~1,500g) 중 141g(10~406g)으로 내용량 차이가 커서 4.5배의 당류 함량 차이를 보였다.

크림빵류 총내용량 중 당류는 국내 107g(60~200g)중 16g(2~39g), 수입 458g(210~1,000g) 중 80g(39~120g)으로 내용량 차이가 커서 5배의 당류 함량 차이를 보였다.

 

■트랜스지방은 대부분 제로수준이나 함유된 제품은 업계의 저감화 추진 유도

국내빵의 평균 트랜스지방 함량은 총내용량 중 128g(50~750g)당 0.03g(0.0~0.86g)으로 WHO 1일 섭취 권고량(2.2g)의 1.3% 수준이며, 빵류(119개) 중 트랜스지방은 92%(109개)가 제로화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지방이 함유된 제품(10개)은 총내용량 113g(50~375g)당 0.36g (0.20~0.86), 70g당 0.27g(0.11~0.60g)으

 

로 업계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저감화 노력이 필요하다.

 

수입 빵류는 대용량으로만 구매가 가능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섭취할 시에는 트랜스지방 섭취가 높아질 우려가 있어 섭취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 트랜스지방 함유 수입빵(8개)은 총내용량 703g(250~1,000g)당 1.28g (0.54~2.18), 70g당 0.14g(0.05~0.25g)으로 조사됐다.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미현 교수는 “소비자들이 식품을 구매할 때 영양표시를 꼭 확인해 당·트랜스지방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고,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당류를 과잉섭취하지 않도록 식습관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가공․조리식품의 건강 위해가능 영양성분(당, 나트륨, 트랜스지방) 모니터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저감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업계의 자발적인 저감화를 유도해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