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의회 의원 보좌관 편법 도입 논란 경기의정연구센터 폐지
상태바
경기도의회 의원 보좌관 편법 도입 논란 경기의정연구센터 폐지
  • 한영민 기자
  • 승인 2014.11.19 0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임위별 배치 할 입법조사관과 역할 중복…의정지원팀으로 축소 경기도의회 의원 보좌관제 편법 도입 논란을 빚고 있는 경기개발연구원 의정연구센터가 폐지될 전망이다. 지난 2013년 4월 설립된 의정연구센터에는 석사학위 이상 연구원 24명이 근무하고 있고 이들 가운데 20명은 도의회 11개 상임위원회에 2명씩 배정됐다. 2명은 상임위를 특정할 수 없거나 다수의 상임위에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어 실질적인 도의원들의 보좌관 역활을 하고 있지 않느냐는 논란을 빚어왔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의회는 편법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가 편성하지 않은 의정연구센터 운영비를 2013년 16억7천만원, 올해 12억원 임의 증액했다. 그러나 의정연구센터 연구원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입법조사관이 내년부터 도의회 상임위원회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도의회 임의 증액이 어렵게 됐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 "의정연구센터 연구원과 상임위원회 입법조사관의 역할이 중복된다"며 "게다가 의정연구센터는 설립 목적을 벗어나 도의원 홍보에 열을 올린다는 비난이 많았던 만큼 존폐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경기개발연구원을 소관하는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은 "의정연구센터를 폐지하고 과거처럼 소규모의 의정지원팀을 운영하는 방안을 경기개발연구원 측과 협의하고 있다"며 "의정지원팀은 도의회에서 요청하는 용역 등 연구업무만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민 기자 변경변경취소 제목수정 관련편지검색 메일 정보 상세보기 보낸사람 : 한영민 14.11.19 14:08 주소추가 수신차단 메일 정보 숨기기 보낸사람: 한영민 14.11.19 14:08 주소추가 수신차단 받는사람 : "전국매일" 주소추가 보낸날짜 : 2014년 11월 19일 수요일, 14시 08분 20초 +0900 보낸사람: 한영민 14.11.19 14:08 주소추가 수신차단 메일 정보 숨기기 Content-Type : text/html; charset="utf-8" Content-Transfer-Encoding : base64 X-Originating-IP : [61.34.74.130] From : "=?utf-8?B?7ZWc7JiB66+8?=" Sender : youngminstar@daum.net Organization : To : "=?utf-8?B?7KCE6rWt66ek7J28?=" Subject : =?utf-8?B?6rK96riw64+E7J2Y7JuQIOuztOyijOq0gCDtjrjrspUg64+E7J6FIOuFvOuegCDqsr3quLDsnZjsoJXsl7DqtazshLzthLA=?==?utf-8?B?IO2PkOyngA==?= X-Mailer : Daum Web Mailer 1.2 Date : Wed, 19 Nov 2014 14:08:20 +0900 (KST) Message-Id : <20141119140820.HM.c0000000003CNJT@youngminstar.wwl1569.hanmail.net> Errors-To : X-HM-UT : jVlgqwsnJAHkfID5g+9T7hY/lnl6Q6Vs4oxTghb3wls= X-HM-FIGURE : jVlgqwsnJAGZhENQMuvEG3Ro2NFktTV4 MIME-Version : 1.0 X-Hanmail-Attr : fc=1 메일 내용 상임위별 배치 할 입법조사관과 역할 중복…의정지원팀으로 축소 경기도의회 의원 보좌관제 편법 도입 논란을 빚고 있는 경기개발연구원 의정연구센터가 폐지될 전망이다. 지난 2013년 4월 설립된 의정연구센터에는 석사학위 이상 연구원 24명이 근무하고 있고 이들 가운데 20명은 도의회 11개 상임위원회에 2명씩 배정됐다. 2명은 상임위를 특정할 수 없거나 다수의 상임위에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어 실질적인 도의원들의 보좌관 역활을 하고 있지 않느냐는 논란을 빚어왔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의회는 편법 논란에도 불구하고 도가 편성하지 않은 의정연구센터 운영비를 2013년 16억7천만원, 올해 12억원 임의 증액했다. 그러나 의정연구센터 연구원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입법조사관이 내년부터 도의회 상임위원회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도의회 임의 증액이 어렵게 됐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 "의정연구센터 연구원과 상임위원회 입법조사관의 역할이 중복된다"며 "게다가 의정연구센터는 설립 목적을 벗어나 도의원 홍보에 열을 올린다는 비난이 많았던 만큼 존폐를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경기개발연구원을 소관하는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의원은 "의정연구센터를 폐지하고 과거처럼 소규모의 의정지원팀을 운영하는 방안을 경기개발연구원 측과 협의하고 있다"며 "의정지원팀은 도의회에서 요청하는 용역 등 연구업무만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