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특수목적고,명문대 진학용 전락"
상태바
"특수목적고,명문대 진학용 전락"
  • 백인숙기자
  • 승인 2015.09.15 2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5년간 외국어고 졸업생의 31%만 대학 진학시 어문계열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의원이 15일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2015학년도 전국 외고, 과학고, 영재고 졸업생은 4만7414명이고 대학 진학자 3만7천258명 가운데 2만245명(54.3%)이 고등학교 계열과 다른 전공을 선택했다.
특히 외고 졸업생 가운데 다른 전공을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최근 5년간 전국 31개 외고 졸업자는 3만8741명이고 대학 진학자 2만8677명 가운데 어문계열 진학률은 31.3%(8977명)에 불과했다.
반면 인문사회계열 중 비어문계열 진학률이 50.2%(1만4385명)나 되고 이공계열은 7.6%(2168명), 의약계열 1.7%(491명), 기타계열 4.8%(1365명) 순이다. 외고를 졸업하고 국내에서 진학하지 않은 해외유학 비율은 4.5%(1291명)로 나타났다.
올해로 한정하면 진학자 5030명 가운데 33.0%(1660명)가 어문계열에 진학했다. 인문사회계열 중 비어문계열은 51.5%(2592명)이고 이공계열 6.6%(332명), 의약계열 1.1%(57명), 기타계열 4.4%(222명), 해외유학 3.3%(167명)로 집계됐다.
지난 5년간 외고 졸업자의 어문계열 진학률을 학교별로 살펴보면 31개 외고 가운데 청주외고(80.9%)와 명덕외고(53.1%)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는 50%를 넘지 못했다. 외국어고는 외국어에 능숙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로 설립됐지만, 입시교육에 치중하면서 사교육과 과열경쟁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과학고와 영재고의 경우 전공과 연관된 진학률이 높았다.
2011∼2015학년도 과학고 졸업자는 6844명이고 진학자(6천813명)의 94.4%인 6천432명이 이공계열을 선택했다. 의약계열 진학률은 2.5%(171명), 기타계열은 3.1%(210명)이다.
같은 기간 영재고를 졸업한 학생은 1829명이고 진학자 1768명 가운데 90.7%(1604명)가 이공계열을 선택했다. 의학계열은 8.7%(154명), 인문사회 계열은 6명(0.3%), 기타계열은 4명(0.2%)으로 나타났다.
유기홍 의원은 "외고, 과학고, 영재고 졸업생 두 명 중 한 명이 동일계열로 진학하지 않는 등 특수목적고가 '명문대 진학용'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교육부와 교육청은 특목고가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