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에너지硏, 기본·상세설계 등 패키지 기술까지 원스톱 구축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중기에 이전
상태바
에너지硏, 기본·상세설계 등 패키지 기술까지 원스톱 구축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중기에 이전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15.11.17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연간 3백만t 감축
1만3천명 고용창출 기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윤여일 박사팀이 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이산화탄소(CO₂) 포집 공정 기술(KIERSOL)과 공정 설계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인 기반에 기술이전 했다고 16일 밝혔다.  

 에너지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의 핵심은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발전소, 제철소 등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저장하는 기술이며 기존 시설에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단기간에 대량의 온실가스를 감축 할 수 있다. 

 바이오가스 공정에 적용하면 쓰레기를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풍력·태양열 등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신재생 에너지원(고순도 메탄)으로 탈바꿈 시킬 수 있다. 

 이번 기술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지난 5년간 출연금 주요사업으로 추진한 결과물로 10MW급 이하 중소 규모 상용 이산화탄소 배출 시설에 적용된다. 

 이산화탄소 포집 소재 개발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기본설계·상세설계·엔지니어링 데이터 및 장비 리스트 등 제반 공정 설계 패키지 기술까지 구축해 기업이 바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까지 연구를 수행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 전부를 원스탑으로 제공했다. 그동안 외부 설계 기관에 설계를 위탁하는 것이 관행으로 여겨지던 국내 연구 현실을 벗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산 공정 설계 패키지가 없어 외국 업체에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오던 국내 업체들도 외산보다 뛰어난 국산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기술로 설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통상적으로 해외에서 화학공정 라이선스를 구매하면 로얄티로 20억 원 내외가 소요됨을 고려할 때 오는 2020년까지 CO2 포집 설비를 5기만 건설한다고 가정해도 대략 100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향후 전 세계적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및 저장 플랜트는 오는 2030년 850기, 2050년 3400기로 증가할 전망이다. 국내에도 CCS기술이 파급되면 오는 2020년까지 연간 3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는 3조 원의 시장이 형성되고 1만 3000명의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기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역시 “2020년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할 핵심 기술”이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로 국내외 바이오 가스 관련 시설 전체에 대해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기술 보급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