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귀농,귀촌가구' 4년간 10배 늘었다
상태바
'귀농,귀촌가구' 4년간 10배 늘었다
  •  김윤미기자
  • 승인 2015.11.20 0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19일 NH농협조사월보 11월호에 실린 ‘귀농·귀촌 정책동향과 시사점’ 보고서(김강현 농협중앙회 미래전략부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국내 귀농·귀촌 인구가 급증해 농촌 사회에 새로운 활력소로 자리 잡고 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는 4만 4586가구로 2013년의 3만 2424가구보다 37.5% 늘었다.
 4년 전인 2010년(4067가구)와 비교하면 약 10배로 껑충 뛰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귀농·귀촌 인구 증가 형태는 과거와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종전의 베이비부머 세대인 50대가 주를 이룬 귀농·귀촌 인구가 40대 이하 연령층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지난해 40대 이하 귀농·귀촌 가구 증가율은 43%로 평균(37.5%)을 앞질렀다.
 또 삶의 질, 자연, 쾌적성 등의 가치가 점점 중요하게 떠오르면서 귀농·귀촌을 결심하는 배경이 달라지는 추세다.
 1990년대 후반 귀농·귀촌의 주요 이유는 IMF 외환위기에 따른 실직 등이었다.
 반면 최근 들어서는 도시생활의 대안으로 농업·농촌과 생태적 가치를 선호해 귀농·귀촌을 선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교통 혼잡, 비싼 생활비, 피상적 인간관계 등에 시달리는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게다가 도시에서 점점 소득과 고용 기회가 줄어 도시 생활이 주는 경제적인 불안도 커지고 있다.
 특히 농촌이 고향이면 각박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마음의 휴식처인 농촌으로 돌아가서 심리적인 안정을 찾으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인구사회적 흐름, 경제적 여건, 농업·농촌의 가치에 대한 인식변화 등을 고려하면 귀농·귀촌 증가세가 상당 기간 지속할 것으로 김 연구원은 내다봤다.
 한국귀농귀촌진흥원에 따르면 지금 추세가 이어지면 20여 년 뒤인 2034년에는 귀농·귀촌 인구가 300만 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