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민주화 꽃 피우고 역사속으로
상태바
민주화 꽃 피우고 역사속으로
  • 백인숙기자
  • 승인 2015.11.26 0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이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에서 엄수된다.
 행정자치부는 유족과 협의를 거쳐 영결식과 안장식, 운구 절차 등을 결정해 25일 발표했다.
 영결식에는 유족과 친지, 장례위원, 국가 주요인사, 각계 대표, 해외조문사절 등 최대 2만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장례위원을 포함 약 5000명을 초대했다. 유족 측 초청 인원은 확정되지 않았다.
 김혜영 행자부 의정관은 “당일 날씨 등의 변수로 적게는 1만명, 많게는 2만명 정도가 오실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영결식에 앞서 오후 1시 25분 운구 행렬이 빈소를 출발한다.
 운구행렬 입장과 함께 시작되는 영결식은 방송인 김동건씨가 사회를 맡아 국기에 대한 경례, 고인에 대한 묵념에 이어 장례집행위원장 정종섭 행자부 장관의 약력보고와 장례위원장 황교안 국무총리의 조사 순으로 이어진다.
 추도사는 김영삼민주센터 이사장인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맡았다.
 국가장인만큼 4대 종교의 의식을 모두 포함한다. 고인과 유족의 종교인 개신교 의식을 시작으로 불교·천주교·원불교 의식의 순으로 엄숙하게 거행된다. 개신교 의식은 고인과 가까웠던 김장환 수원중앙침례교회 목사가 인도한다.
 종교의식 후에는 고인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애도와 추모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헌화와 분향에 이어 바리톤 추모곡이 영결식장을 가득 메운다.
 추모곡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인 바리톤 최현수가 청소년합창단과 함께 고인이 평소 좋아하는 곡을 부르기로 했다.
 조총 발사 후 김 전 대통령의 유해는 9선 의원을 지내며 피와 땀이 서린 국회의사당을 뒤로하고 장지인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한다.
 현충원으로 이동하는 길에 동작구 상도동의 사저와 기념도서관을 경유한다.
 사저에서는 유족이 영정을 들고 생전 고인의 체취가 어린 공간을 마지막으로 돌아 나온다.
 공식 노제와 추모제는 유족과 협의에 따라 하지 않기로 했다.
 안장식은 서울현충원에서 오후 4시 20분부터 1시간 반동안 진행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