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온실가스 감축' 전국 지자체로 확산
상태바
'온실가스 감축' 전국 지자체로 확산
  •  전국종합/ 김윤미기자
  • 승인 2015.12.07 0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전국 지자체로 확산되고 있다.
 ‘바람의 섬’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 곳곳에 풍력, 태양광, 지열 등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들이 잇따라 들어서고 있다.
 한반도 기후변화의 최전선으로 여겨지는 제주도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수요를 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목표대로면 앞으로 15년 후에는 풍력발전으로만 총 235만㎾(육상 45만㎾·해상 190만㎾)의 전력을 생산, 전력사용량 전망치 113억㎾h의 58%인 66억㎾h을 생산하고 나머지는 태양광, 연료전지, 지열발전, 해양·바이오 등으로 대체하게 된다.
 제주에는 1998년 국내 최초로 행원풍력발전단지(1200㎾·2기)가 가동된 것을 시작으로 지난 9월 현재 184기(59만7000㎾)를 운영 또는 개발 중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도내 전력사용량 46억㎾h 가운데 6.5%인 2억9900㎾h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했다.
 제주도는 또 지역에서 운행하는 차량도 전기차로 전환, ‘바람으로 가는 전기자동차’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제주를 ‘에너지 자립섬’, ‘탄소 없는 섬’(카본 프리 아일랜드)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도 소개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전 세계 140여개국 정상 및 정상급 지도자들이 참석한 기후변화 정상회의 전체회의에서 제주 사례를 역설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도 파리에서 제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소개하면서 외국 도시들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논의했다.
 에너지 문제에 팔을 걷어붙인 건 다른 지자체들도 마찬가지다.
 전남도는 태양광 분야에서 지난해 말 기준 5976개 업체가 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2073개 업체가 60만4000㎾를 생산하고 있다. 풍력은 42개 업체가 허가를 받아 10개 업체가 135㎿를 생산하고 있다.
 전남도는 2023년까지 영광, 무안, 해남, 진도, 신안 등 도서연안에 1000㎿ 용량의 육상 풍력을 설치하고, 2030년까지 서남해 해상에 4000㎿ 용량의 해상 풍력을 설치하는 등 앞으로 태양광보다는 풍력에 주력할 계획이다.
 강원도는 ‘탄소 제로 환경올림픽’을 슬로건으로 2018평창동계올림픽 대회 기간 전력 수요량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기 위한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6033억원을 들여 7개 풍력발전단지에 발전기 102기를 설치, 220㎿를 생산할 계획이다.
 공공청사에 태양광열, 지열, 소수력 등을 보급하기 위해 2017년까지 80개 사업에 166억원을 투자하며 숙박시설 및 경로당 460개소에는 태양열 급탕시설을 설치한다. 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까지 전기차도 100대 보급한다.
 인천시는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서구청사, 인천의료원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등 13개 사업에 태양열 525kW, 지열 70kW급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구축했다.
 경북에는 풍력발전소 5곳(총 106㎿ 규모)이 가동 중이며, 15곳(584㎿)은 사업 허가를 받았거나 허가가 진행 중이다. 태양광발전소는 1368곳(344㎿)이 허가를 받아 운영 중이며 1870곳(516㎿)은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충북 진천군 문백면 공예마을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을 통해 태양광 25개소(162㎾), 태양열 24개소(192㎡), 지열 25개소(528㎾) 규모의 시설을 설치했다. 이곳에서는 연간 32만8033㎾h의 에너지가 생산되고 있다.
 경기도에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891개(태양광 878·수력 6·바이오 3·풍력 2·연료전지 1·폐기물 1)이며, 837곳은 발전소 허가가 됐거나 건립계획이 마련돼 조만간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지자체 간 협력도 활발하다.
 서울시·경기도·충청남도·제주도 등 4개 광역 지자체는 지난달 24일 지역 에너지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서로 협력해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낭비 없이 지혜롭게 쓰자며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등을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