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제5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사라 길버트 박사·세계백신면역연합 공동 수상
상태바
제5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사라 길버트 박사·세계백신면역연합 공동 수상
  • 미디어팀/ 이현정기자
  • 승인 2022.02.13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 설립자특별공로상 수상 ‘영예’
[선학평화상위원회 제공]
[선학평화상위원회 제공]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호세 마누엘 바로소 전 유럽위원회 집행위원장)는 전날 ‘제5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시상식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지침을 준수하며 비대면 방식인 온라인으로, 경기도 HJ글로벌아트센터에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하이브리드로 열리며, 해외참석자들을 위해 16개 언어로 동시통역으로 진행됐다.

호세 마누엘 바로소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제5회 시상은 ‘글로벌 감염병 대응’을 주제로 수상자를 선정했다”며 “오늘의 주인공인 사라 길버트 박사와 세계백신면역연합은 뜨거운 인류애로 평화를 위한 건강, 그리고 건강을 위한 평화를 위해 헌신한 영웅”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학평화상 설립자인 문선명·한학자 총재는 일생 동안 평화는 ‘너와 나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가 한 가족처럼 돕고, 사랑할 때라야 비로소 달성될 수 있다’고 호소했다”며 “선학평화상은 인류의 평화를 위해 헌신한 용기 있는 의인들을 계속 찾아 나갈 것”이라고 축하했다.

5회 선학평화상은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백신 평등에 주목했다. 수상자는 사라 길버트(Dame Sarah Catherine Gilbert, 59,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 백신학 교수)박사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the Vaccine Alliance, 2000년 설립)가 공동 수상했다.

사라 길버트 박사는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가 최대 규모 감염사태로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을 때, 백신 개발이 중단돼서 어디서 지연이 발생하는지 관찰해서 유사한 상황을 대비했다”며 “또 다시 전염병에 대응해야 할 때 정부와 국제기관들이 손잡고 일해, 2020년보다 더 철저히 준비된 모습을 갖기를 바란다”고 전염병에 대한 대응을 호소했다.

세계백신면역연합 세스 버클리 대표는 “선학평화상의 정신은 2000년 이후 세계백신면역연합이 추구해온 정신과 동일하고, 유니세프·코백스와 플랫폼을 설치해 전 세계가 공평하고 균등한 백신 공급을 실시, 팬데믹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이번 수상은 저 혼자서 이룬 일이 아닌 캄보디아에 평화를 건설하기 위해 함께했던 많은 분들이 이 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면서 “전쟁과 평화에 대한 캄보디아의 경험을 통해 ‘평화가 없으면 희망이 없다. 평화가 없으면 발전이 없다. 평화가 없으면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존중도 없다’고 강조하고 싶고 ‘평화는 막현한 꿈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이다’라는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신념에 동의한다”고 전했다. 특히 “평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현재’의 우리들에게도 필수적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선학평화상의 슬로건처럼 ‘미래세대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뉴트 깅리치 전 미국 하원의장은 “현재 우리는 도전이 많은 순간에 살고 있으며, 또 놀라운 점은 오늘 있었던 연설들을 보면 우리가 ‘하나님 아래 인류 한 가족’ 비전으로 인류의 안전과 번영을 이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수상자를 축하했다.

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다.

한편 선학평화상재단은 ‘제5회 선학평화상 설립자특별공로상’ 수상자로 훈센(Hun Sen, 70) 캄보디아 총리를 선정했다.

훈센 총리는 동남아시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번영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한 공로와 ‘신통일한국 평화체제’에 발맞춰 ‘한반도 평화서밋’의 공동조직위원장을 맡아 활약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전국매일신문] 미디어팀/ 이현정기자
hj_lee@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