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액 1년새 3.7배 급증…대위변제액 5년새 61배 폭증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전세사기특별법 개정안 처리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법안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news/photo/202401/1008060_701100_2524.jpg)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대신 갚아줘야 하는 전세 보증사고액이 지난해 4조3,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세사기와 빌라 역전세 여파로 사고액이 1년 새 4배 가까이 급증했다.
16일 HUG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사고액은 4조3,347억 원, 사고 건수는 1만9,350건이다.
지난해 세입자 2만 명 가량이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해 HUG에 대신 내어달라고 청구한 것이다.
작년 보증사고액은 전년(1조1,726억 원)보다 3.7배 많다.
당초 HUG가 예상한 연간 보증사고액 3조8,000억 원을 훌쩍 넘어서는 규모다.
2022∼2023년 2년간 전세 보증사고액은 5조5,000억 원 규모다.
HUG는 보증사고액이 2025년까지 1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세금 반환 요청을 받은 HUG가 지난해 세입자에게 내어준 돈(대위변제액)은 3조5,540억 원이다. 모두 1만6,038가구가 HUG에서 보증금을 돌려받았다.
HUG 대위변제액은 ▲2018년 583억 원 ▲2019년 2,837억 원 ▲2020년 4,415억 원 ▲2021년 5,041억 원 ▲2022년 9,241억 원으로 급격히 늘었다.
대위변제액이 5년 새 61배 폭증한 것이다.
![전세사기ㆍ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 힘 당사 앞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면담 요청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news/photo/202401/1008060_701101_2543.jpg)
전세 보증사고가 급증해 전세 보증보험 가입이 중단될 위기까지 몰리자, 국회에서는 지난해 HUG 보증 한도를 늘리고 자본을 확충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HUG의 보증 한도는 자본금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개정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HUG의 법정자본금은 기존 5조 원에서 10조 원으로 늘어나고, 자기자본의 70배인 보증 한도는 90배까지 확대됐다.
개정법은 또 HUG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보증 신청자의 금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세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한 담보가 설정된 사실을 확인한 경우 금융기관과 협약해 보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세입자가 전세 보증보험에 가입했음에도 시중은행에서 받은 전세자금 대출이 다른 보증기관에 담보로 설정돼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상황을 막기 위한 조치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