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구조조정 실탄'역대 최대 은행권,충당금 33兆 적립
상태바
'구조조정 실탄'역대 최대 은행권,충당금 33兆 적립
  • 김윤미기자
  • 승인 2016.05.31 0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이 대손충당금을 33조 원 넘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을 기준으로 국내 은행의 고정이하여신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은 33조 5678억 원이다.
 대손충당금 잔액은 지난 2008년 말 21조 원에서 2013년 31조 원으로 늘었다. 2014년에는 30조 원으로 1조 원 줄었다가 다시 1년 만에 3조 5000억 원이 늘어났다.
 특히 지난해에만 3조 5450억 원이 증가해 5조 826억 원이 늘어난 지난 2010년 이후 연간 상승폭으로는 5년 만에 최대 규모로 늘었다.
 은행 종류별로는 특수은행이 16조 6719억 원으로 대손충당금 잔액이 가장 많다.
 국내와 외국계를 합친 시중은행은 14조 8586억 원을 적립해 그 뒤를 따랐다.
 지방은행은 2조 372억 원을 충당해 특수·시중은행과 큰 차이를 보였다.
 특수은행이 가장 많은 충당금을 적립했지만 부실채권을 정리하기에는 ‘실탄’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수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91.5%다. 현재 고정이하여신에 들어가 있는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데에만 8.5%포인트를 더 쌓아야 한다.
 기업 구조조정의 큰 축을 담당하는 산업은행이 5조 7625억 원의 실탄을 지니고 있지만 적립률은 78.65%로 은행권에서 가장 낮다.
 산업은행은 적립률을 100%로 끌어올리려면 최소 1조 5000억 원 이상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여기에 대우조선해양 등 주요 조선사들의 대출 채권을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놓지 않아 추가로 들어갈 돈은 수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의 대우조선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6조 3000억 원에 달한다.
 농협은행도 3조 3462억 원의 충당금을 쌓았지만 적립률이 79.65%로, 산업은행에 이어 최하위권에 속한다.
 농협은행은 수조 원대의 충당금을 쌓는 ‘빅배스’를 통해 여신 건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특수은행 중에서는 기업은행만 ‘실탄’이 풍부한 편이다. 기업은행은 약 4조 원의 충당금을 쌓아 적립률이 173.7%에 달한다.
 시중은행의 구조조정 ‘총알’도 넉넉한 편이다.
 국민·신한·우리·하나·SC·씨티 등 6개 시중은행의 평균 충당금 적립률은 145.3%에 달한다.
 국민은행은 3조 7088억 원(151.5%), 우리은행 3조 7687억 원(121.5%), KEB하나은행 3조 2546억 원(128.9%) 등 3개 시중은행은 각각 3조 원이 넘는 구조조정 실탄을 마련했다.
 신한은행도 2조 7897억 원(172.7%)을 쌓았으며 한국씨티은행(6911억 원·345.3%)과 SC제일은행(6456억 원·189.3%)도 충당금을 6000억 원 넘게 마련해 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