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유럽 동맹국들 "러 본토 타격 허용해야"…대미 압박
상태바
유럽 동맹국들 "러 본토 타격 허용해야"…대미 압박
  • 이현정기자
  • 승인 2024.05.29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英·佛·스웨덴 등 잇단 입장표명…NYT "최대 원조국 美 겨냥"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를 장전 중인 호주군 HIMARS.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를 장전 중인 호주군 HIMARS.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원조한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때릴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유럽 동맹국들의 압박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베를린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회담한 직후 진행된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과거에는 서방과 러시아의 정면대결로 확전할 것을 우려해 서방제 무기의 러시아 본토 타격을 전면 제한해야만 했지만, 러시아가 본토에서 미사일 등으로 우크라이나를 일방적으로 때리는 현 상황에는 맞지 않다는 것이 마크롱 대통령의 주장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우크라이나군이) 미사일이 발사되는 (러시아) 군사기지를 무력화하는 걸 허용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다른 러시아 내 군사 목표물을 서방제 무기로 타격하는 건 여전히 허용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27일에는 불가리아에서 열린 나토 의회연맹 춘계총회에선 러시아에 대한 서방 무기 발사 제한을 해제할 것을 회원국들에 촉구하는 선언문이 채택됐고 영국, 스웨덴, 네덜란드 등도 잇따라 이를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 25일(현지시간) 폭격으로 화재 발생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의 대형 건축자재 상점. [하르키우 AP=연합뉴스]
지난 25일(현지시간) 폭격으로 화재 발생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의 대형 건축자재 상점. [하르키우 AP=연합뉴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24일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무기 사용에 대한 일부 제한을 해제해야 할지 숙고할 때"라고 말했고, 에드가르스 링케비치 라트비아 대통령도 27일 CNN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무기로 러시아 본토 공격을 하지 못하게 하는 협력국들은 "가능한 한 빨리 그런 결정을 재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NYT는 "서방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보낸 무기로 러시아 영토를 공격할 수 있도록 허용하라는 요구를 강화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요구들은 우크라이나의 최대 무기 원조국인 미국을 주로 겨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은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면서 러시아 영토 내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는 사용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다만 최근 들어 미국 정부 내부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미국제 무기의 사용 제한을 완화할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유럽의 나토 회원국 사이에서도 서방제 무기의 러시아 본토 공격 제한을 해제할지와 관련해 여전히 이견이 있는 상황이라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짚었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26일 자국 방송에 출연해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겠다. 난 우리가 매우 조심스러워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숄츠 총리도 같은 날 러시아 본토 타격과 관련한 독일의 기존 정책을 변경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우리는 무기 제공에 관해 우크라이나와 합의한 명확한 규칙이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러한 움직임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8일 타슈켄트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영토 타격을 허용한다면 '심각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장거리 정밀무기는 "우주 정찰 능력 없이 사용할 수 없다"면서 이러한 무기가 러시아 본토 공격에 쓰인다면 서방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직접 개입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이현정기자
hj_lee@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