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北발사체 연료 누출 가능성…서너달뒤 재발사할 수도"
상태바
"北발사체 연료 누출 가능성…서너달뒤 재발사할 수도"
  • 이현정기자
  • 승인 2024.05.29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전문가 "北, 문제 근본 원인 완전 해결 못했을 수도…러 로켓에 위성 탑재 가능성"
지난 27일 도쿄에서 북한 군사정찰위성 관련 피난 경보를 해제한다는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도쿄 교도·AP=연합뉴스]
지난 27일 도쿄에서 북한 군사정찰위성 관련 피난 경보를 해제한다는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도쿄 교도·AP=연합뉴스]

북한이 27일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다가 실패한 것과 관련해 일본 항공 전문가가 발사체에서 연료 누출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재발사에 3∼4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타오카 하루히코 일본 우주안전보장연구소 부이사장은 29일 보도된 아사히신문 인터뷰에서 영상을 통한 분석을 전제로 "연료가 샌 것이 (폭발) 원인일 것"이라며 "연료를 엔진에 보내는 파이프 등이 파괴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상에서 연소 실험에 성공했어도 기체가 상승할 때 진동과 음파 영향으로 상태가 좋아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가타오카 부이사장은 한국 공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항공막료장을 지냈으며, 퇴임 후에는 방위 장비를 생산하는 중공업 업체인 IHI 고문 등으로 활동했다.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지난 28일 북한이 전날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지난 28일 북한이 전날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관련 보도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가타오카 부이사장은 북한이 지난해 이후 네 차례 위성 발사를 시도했지만, 한 차례만 성공했다는 점을 언급하고 "문제의 근본적 원인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북한이 기체 위치와 내부의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텔레메트리(비행정보) 신호를 받고 있다면 기체 각 부분의 온도 변화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해 수정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은 동일한 기체를 여러 개 제조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다음 발사에 신중해지겠지만, 3∼4개월 뒤에는 발사를 단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가타오카 부이사장은 "(북한이) 러시아 로켓에 위성을 탑재해 발사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학자들을 상대로 발사 작업을 지속하라고 독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북한이 위성 발사를 서두른 탓에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아사히가 전했다.

방위성 간부는 전날 집권 자민당 회의에 참석해 "어중간한 형태로 발사를 서둘러 실패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발사 후에 구부러지듯 비행한 것으로 보였다"며 "목표했던 바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해 (북한이) 자폭시킨 것 아닌가"라고 추정했다.

[전국매일신문] 이현정기자
hj_lee@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