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오송참사 유발' 부실공사 현장소장 징역 7년6개월…법정최고형 선고
상태바
'오송참사 유발' 부실공사 현장소장 징역 7년6개월…법정최고형 선고
  • 박문수 기자
  • 승인 2024.05.31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원 "자연재해 아닌 명백히 예방가능했던 人災"…감리단장은 징역 6년
판사 "최소 15년 선고해야…죄책 상응하는 선고 못 해 무기력 느껴"
지난해 7월 18일 오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 비가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7월 18일 오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 비가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14명의 목숨을 앗아간 오송 지하차도 참사와 관련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된 미호강 부실 제방 공사의 책임자인 현장소장이 1심에서 법정최고형을 선고받았다.

청주지법 형사5단독(정우혁 부장판사)은 31일 업무상과실치사, 증거위조교사, 사문서 위조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공사 현장소장 A씨(55)에게 징역 7년 6개월을 선고했다.

A씨에게 선고된 형량은 이들 3개 혐의를 경합한 법정 최고형이다.

혐의를 전면 부인한 A씨와 달리 잘못을 대체로 인정한 감리단장 B씨(66)는 징역 6년을 선고 받았다.

A씨 등은 도로(미호천교) 확장공사 편의를 위해 기존에 있던 제방을 무단으로 철거한 뒤 임시제방을 부실하게 조성하거나 공사 현장 관리·감독을 소홀히 해 인명 피해를 초래한 혐의를 받는다.

또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시제방을 축조했다는 책임을 숨기기 위해 사전에 없던 시공계획서와 도면 등을 위조하도록 교사한 혐의도 있다.

재판과정에서 B씨는 시공사의 부실 공사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했다고 혐의를 대체로 인정했지만, A씨는 허가받지 않고 제방을 절개한 것은 행정상 착오였고 철거 또한 설계도상 불가피했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서 지난해 7월 17일 구조대가 침수차량을 꺼내오고 있다. [연합뉴스]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수색구조현장에서 지난해 7월 17일 구조대가 침수차량을 꺼내오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재판부는 설계상 제방 절개가 불가피했더라도 절개 시기, 대체 제방 축조 계획 등 수해 방지 계획을 수립해 하천 점용허가를 다시 받고 공사를 진행했어야 했다며 A씨 측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임시제방을 기존 제방과 동일한 규격대로 축조하거나 사고 발생 하루 전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해 부실한 임시제방에 대한 보수작업을 진행했으면 강물이 월류해 제방이 유실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강하게 질책했다.

이어 "임시제방 인근에 피고인의 가족이 있었으면 그때도 제방을 튼튼하게 축조했다고 얘기할 수 있을지 되묻고 싶다"며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결코 피고인이 예상할 수 없는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정 부장판사는 "다수가 사망한 것과 한 명이 사망한 것이 아무리 하나의 사고라도 같다고 볼 수 있는 건지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솔직하게 피고인 죄책에 상응하는 형은 최소 징역 15년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유족의 슬픔과 안타까움을 함께하면서도 피고인에게 그에 합당한 형을 선고할 수 없다는 현실 앞에 법관으로서 무기력함을 느낀다"며 "입법부에서 이부분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법 개정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지난해 7월 17일 오전 군 장병들이 수색구조작업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지난해 7월 17일 오전 군 장병들이 수색구조작업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현행법상 '상상적 경합' 조항은 하나의 행위가 여러 범죄에 해당하는 경우 가장 중한 죄에 정한 형으로 처벌하는 것이다.

이를 적용하면 피해자가 많아도 한 건의 범죄로 간주하고 처벌한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지난해 7월 15일 오전 8시 40분께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는 인근 미호강 제방이 터지면서 유입된 하천수로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침수되고 14명이 숨진 사고다.

검찰은 이날 선고받은 A씨 등 2명을 비롯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금강유역환경청 공무원, 경찰·소방관 등 부실 대응으로 사고를 키운 책임자 28명을 무더기로 재판에 넘겼다.

[전국매일신문] 박문수기자
pms5622@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