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대미 수출, 22년만에 중국 추월 전망…대기업은 이미 역전
상태바
대미 수출, 22년만에 중국 추월 전망…대기업은 이미 역전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4.06.10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소기업도 20년만에 역전 가능성…친환경차·반도체·화장품 등 美 수출 급증
중국 경제 회복 기대에 추이 지켜봐야…5월 수출은 '대중>대미'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전경. [인천시 제공]

올해 들어 우리나라 대미(對美) 수출 규모가 대중(對中) 수출을 웃돈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대미 수출이 22년 만에 대중 수출을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기업은 이미 지난해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을 넘어 20년 만에 역전됐으며 중소기업 수출도 올해 20년 만에 역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을 넘어섰다.

지난 1∼5월 대미 수출 규모는 533억달러로 대중 수출(526억9천만 달러)보다 6억1천만 달러 가량 많다. 월별로 보면 2∼4월 석 달은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보다 많다.

연간 기준으로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추월하면 2002년 이후 22년 만에 역전되는 것이다. 지난해 대미 수출은 1천157억1천만 달러로 대중 수출(1천248억1천만 달러) 대비 91억달러 적었다.

그러나 격차는 2004년(69억1천만 달러) 이후 19년 만에 가장 작은 것이다.

지난해 대미 수출은 자동차·이차전지 등의 수출 확대로 5.4% 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로써 2005년 이후 미국은 18년 만에 수출 2위 국가로 복귀했다.

대미 수출의 경우 2020년 741억1천만 달러에서 2021년 959억 달러로 증가한 데 이어 2022년(1천97억7천만 달러) 사상 처음으로 1천억 달러를 돌파했고 지난해 더 늘었다.

수출입 화물을 가득 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으로 입항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출입 화물을 가득 실은 컨테이너선이 부산항으로 입항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면 대중 수출은 2021년 1천629억1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뒤 2022년 1천557억9천만 달러, 지난해 1천248억1천만 달러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이는 중국 제조업 부진 등에 따른 것이다.

대기업은 이미 지난해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20년 만에 처음 추월했다.

지난해 대기업의 대미 수출은 795억2천만 달러로 대중 수출(762억9천만 달러)보다 32억3천만 달러 많았다. 대기업의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웃돈 것은 2003년 이후 20년 만이다.

대기업의 대미 수출은 2016년 이후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증가했다. 2020년 482억2천만 달러에서 지난해 약 800억 달러로 3년 만에 64.9% 급증했다. 이는 고수익 친환경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자동차와 일반기계류 등의 수출이 늘어난 덕분이다.

이에 반해 대중 수출은 2021년 1천80억1천만 달러에서 2022년 997억1천만 달러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800억 달러를 밑돌았다.

올해 중소기업 대미 수출 규모도 대중 수출을 앞지를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중소기업 대미 수출은 171억1천만 달러로 대중 수출(192억4천만 달러) 대비 21억3천만 달러 적었다. 그러나 격차는 2003년(48억5천만 달러) 이후 20년 만에 가장 작다.

올해 1분기 중소기업 대미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4.5% 증가한 47억2천만달러로 3.3% 감소한 대중 수출(42억5천만달러)보다 많아 1위를 차지했다. 

2분기 이후에도 현 흐름이 이어질 경우 2001년 이후 23년 만에 역전된다.

중소기업 대미 수출은 화장품(60.5%)과 기타기계류(288.2%) 등의 수출이 급증해 호실적을 내고 있다. 중국은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합성수지(-1.8%), 기타기계류(-38.7%) 등의 수출이 줄었다.

한국은행은 지난 4월 발표한 '우리나라의 對(대)미국 수출 구조변화 평가 및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앞으로도 대미 수출은 당분간 견조한 미국 소비 여건과 우리 기업 대미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며 우리나라 총수출과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중국 경제가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수출 추이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중국은 1분기 경제 성장률이 5.3%로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고 지난달 수출도 3천23억5천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7.6% 늘어 호조를 보였다.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0%에서 4.5%로 상향 조정했다.

수출 통계는 1995∼2008년은 중소기업, 대기업, 총수출로 구분돼 있고 2009년부터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타, 총수출로 구분된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