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5월 취업자 수 증가 '찔끔'…청년실업률은 '최대폭'
상태바
5월 취업자 수 증가 '찔끔'…청년실업률은 '최대폭'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4.06.12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5월 고용동향…취업자 8만명 늘어 39개월만에 '최소폭'
청년실업률 0.9%p 오른 6.7%…3년여만에 최대폭 상승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이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고용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이 1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고용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조사 기간 휴일이 포함된 영향 등으로 39개월 만에 최소로 쪼그라들었다.

또한 청년층 중심으로 실업률 상승세가 이어졌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91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명 늘었다.

2021년 2월 47만3천명 줄어든 뒤로 3년 3개월 만에 최소 폭이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달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20만명대를 회복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10만명 밑으로 내려갔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7만3천명 줄면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2021년 1월 31만4천명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청년층 고용률도 0.7%p 하락하면서 낙폭이 작년 7월(-0.7%p)과 같은 수준으로 확대됐다.

청년층 실업률은 0.9%p 상승한 6.7%로 집계됐다. 2021년 2월(1.1%p)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6만5천명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30대(7만4천명), 50대(2만7천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3만8천명 늘며 6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숙박음식점업도 8만명 늘며 석 달째 늘었다. 도매 및 소매업(-7만3천명), 건설업(-4만7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다.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가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가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5%로 1년 전과 같았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이래 5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1%p 상승한 70.0%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5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실업자는 88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7천명 증가했다. 2021년 20만1천명 늘어난 뒤로 최대폭 증가다.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3%p 상승한 3.0%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엔데믹에 따라 노인 일자리 사업, 청년 인턴 등 구직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전 연령대에서 실업자가 증가세라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국내 관광객 증가 등 영향으로 숙박음식점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었다"며 "조사 대상 기간에 부처님오신날이 있어서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에도 큰 폭의 변화가 있었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