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요금 인상 관련 분야별 지원 앞장
![안성시청사 전경.](/news/photo/202502/1116898_820905_1446.jpg)
경기 안성시는 관내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고, 균등한 물 복지를 실현하고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국비 확보는 물론, 지속적인 예산을 투입해 노후 상수도관의 교체를 추진하고 누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수관망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유수율 향상을 위해 블록시스템 사업으로 유량계 설치 및 54개소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해 누수 사항을 파악해 현재 유수율 78.3%에서 89%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노후 상수도 교체 사업의 경우, 지난해부터 국비 약 20억을 지원받아 시가지 내 관망을 조사하고 있으며 2026년 상반기 공사 착공을 목표로 노후 상수도관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시행된 수도 요금 인상과 관련해 세심한 지원 및 선제적 대응을 이어가며 시민을 위한 물 복지 증진에도 앞장서고 있다.
시는 다른 대도시들에 비해 물을 공급받는 거리가 멀어 상수도 공급망이 부족해 공급 인프라 구축 및 유지비용이 높아 수도 요금 비용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면적 대비 인구 밀집도가 낮아 수도시설 유지관리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생산원가 상승과 경영적자 누적에 따라 2003년 이후 21년간 동결되었던 수도요금이 불가피하게 인상됐다.
시는 시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얻고자 홍보물 배부 및 전광판 송출, 시청 SNS 및 홈페이지 게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통했다.
특히, 단순한 수익지출 목적이 아닌 수도관 교체와 상수도시설 건설, 유지보수 재원 확보를 위한 사항임을 적극 알렸다.
이와 함께 시는 상수도 요금 인상으로 기초생활수급자, 다자녀 가정 등을 위해 다양한 요금 감면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난해 1월부터는 다자녀 기준을 3명에서 2명으로 적용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감면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대규모 폭설 피해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됨에 따라 신속한 피해복구 및 민생 안정을 위해 1월 상하수도 부과 요금 전액을 감면 시행했다.
시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을 통해 피해 가구를 파악하며 방문 및 별도의 신청 없이 감면 처리를 진행하는 적극 행정을 펼쳤고, 이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다른 지자체들에 비해 선제적으로 대응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안성의 상수도 정책은 철저한 계획과 예산, 기술을 토대로 언제나 시민 행복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수도시설 개선 사업 등을 적극 추진해 맑고 안전한 수돗물을 제공하고 시민들의 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안성/ 유완수기자
youys@jeonm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