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저축은행 연체액 3년여만에 264% 폭증…2금융권 건전성 '경고음'
상태바
저축은행 연체액 3년여만에 264% 폭증…2금융권 건전성 '경고음'
  • 방지혜기자
  • 승인 2025.02.24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감원, 'PF부실 정리 지연' 저축은행 내달 현장검사 착수
금융감독원은 2일 은행과 저축은행의 대출상품 온라인 광고 개선안을 발표했다.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 연체액이 올해도 급증세를 이어가며 건전성 '경고음'이 지속되고 있다. 사진은 금융감독원.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 연체액이 올해도 급증세를 이어가며 건전성 '경고음'이 지속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특히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정리가 지연되는 저축은행들을 대상으로 다음 달 현장점검에 착수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연일 압박을 가하고 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 금융업권별 대출 및 연체 규모'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생명보험·카드) 연체 규모는 23조8천억원(130만2천건)으로 집계됐다.

금융권 연체 규모는 지난 2021년 말 7조8천억원 수준이었지만, 2022년 말 10조5천억원, 2023년 말 16조9천억원로 증가세를 이어왔다.

작년 말 20조6천억원으로 20조원대까지 불어난 데 이어 올해도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달 업권별로 살펴보면 저축은행업권의 연체 규모는 9조1천억원으로 작년 말 8조3천억원 대비 9.6% 늘었다. 기업 연체가 6조9천억원, 가계 연체는 2조1천억원 규모다.

저축은행업권 연체액은 2021년 말 2조5천억에서 3년여만에 264% 급증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 금융권 중 가장 빠른 증가율이다.

이는 PF 부실 정리가 지연되면서 연체 증가세가 꺾이지 않는 탓으로 보인다.

다만, 저축은행업권은 하루만 대출금을 갚지 않아도 연체로 인식하는 구조 탓에 설 연휴(1월 25~30일) 직후 연체 규모가 일시적으로 증가한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도 PF 사업장 정리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다음 달부터 저축은행 현장검사에 착수한다.

전 금융업권이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나선 가운데 유독 저축은행업권이 금리인하 기대에 편승해 정리 속도를 지연시키면서 부실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게 금감원 판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PF 대출 취급 과정 및 리스크 관리 적정성을 점검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이외 2금융권 연체 증가세도 이어지고 있다.

전업 카드사 대출(카드론·현금서비스 포함) 연체 규모는 1조5천억원으로 작년 말(1조3천억원) 대비 15.4% 증가했다.

생명보험업권 연체 금액도 작년 말 4천억원에서 5천억원 규모로 늘었다.

가장 대출 규모가 큰 은행업권 연체 규모는 지난달 기준 12조 7천억원으로 작년 말 10조 6천억원 대비 19.8% 증가했다.

강민국 의원은 "올해도 금융업권 대출 연체 규모가 가계, 기업 할 것 없이 늘고 있다"며 "금융 당국은 대출 속도가 빠른 금융업권에 현장점검을 정기적으로 하고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 종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방지혜기자
BangG@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