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비수도권 청년,일자리 찾기 더 힘들다
상태바
비수도권 청년,일자리 찾기 더 힘들다
  • 백인숙기자
  • 승인 2016.09.06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수도권 청년들에게 불어닥친 고용 한파가 더욱 매서운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15∼29세 청년 고용률은 비수도권에서 39.6%로 수도권(45.3%)보다 5.7%포인트 낮았다.
 청년층 고용률은 통상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5%포인트 안팎으로 낮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서서히 격차가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엔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38.7%였으나 수도권은 5.2%포인트 높은 43.9%였고 지난해 4분기에도 비수도권은 39.5%, 수도권은 43.9%로 수도권이 4.4%포인트 높았다.
 반면 전체 고용률로 따지면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격차는 청년층만큼 크진 않았다.
 지난달만 해도 전체 고용률의 경우 비수도권이 60.7%로 수도권 61.7%보다 1%포인트 낮은 데 그쳤다.
 비수도권 청년층 고용률이 낮은 것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청년이 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적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올 2분기 서울의 청년 고용률이 45.9%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인천 45.1%, 경기 44.8%로 16개 시도 가운데 청년 고용률 상위 3곳을 모두 수도권이 차지했다.
 반면 전북의 청년 고용률이 34.3%로 가장 낮았고 전남 34.7%, 광주 35.0%, 강원 36.0% 순으로 고용률 최하위권을 형성했다.
 여기에 최근 일부 지방을 중심으로 청년 실업률까지 오르는 모양새여서 비수도권 청년들이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청년 실업률의 경우 대구와 전북이 14.4%, 12.2%로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특히 대구는 청년 실업률이 전년 동기대비 4.0%포인트, 전북은 7.6%포인트 오르는 등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역 내수부진과 주력산업이 위축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방에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떠나는 상황에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2006∼2015년간 지역별 청년층(15∼34세) 인구 이동 현황을 살펴본 결과 경기는 청년 인구가 51만 6000명, 인천은 6만 6000명 늘어 전국 16개 시도 중 1, 2위를 차지했다.
 서울도 3000명 늘었다.
 반면 충남(2만 명)과 울산(2000명)을 제외한 나머지 비수도권 지역은 모두 청년층 인구가 유출됐다.
 이 부연구위원은 “청년층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산업단지를 유치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제조업 비중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예전 방식을 답습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