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특검은 출범즉시 김 전 실장 조사해야
상태바
특검은 출범즉시 김 전 실장 조사해야
  • .
  • 승인 2016.11.23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순실(60·구속기소)씨의 국정농단 의혹에 김기춘(77)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검찰 또는 특별검사 수사를 통해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 전 실장은 "최씨와 일면식도 없다"며 최씨와의 관계를 적극 부인하는 입장이지만 두 사람이 아주 낯선 관계는 아니라고 추정해볼 만한 정황이나 진술이 계속 나와 검찰 수사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 안팎에서 김 전 실장에게 의혹의 눈길을 보내는 것은 그가 청와대에서 누렸던 막강한 지위와 권한 때문이다. 김 전 실장은 현 정부 초기인 2013년 8월부터 작년 2월까지 청와대 2인자이자 '대통령의 그림자'로 불리는 비서실장을 지냈다. 박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하며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본 인물이다. 김 전 실장은 박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때부터 2대에 걸쳐 인연을 맺은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박 전 대통령의 종신 집권 플랜을 법적으로 뒷받침하는 '유신 헌법' 초안도 그의 손에서 나왔다.    박 대통령과는 2000년대 중반 국회의원 시절 처음 인연을 맺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대선에선 '친박 원로' 모임인 '7인회' 멤버로 활동하며 박 대통령 당선에 큰 역할을 했다.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따서 만든 '정수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은 졸업생 모임인 '상청회'의 회장을 지냈고, 2012년 6월에는 재단법인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이런 이력과 충성심 덕분에 청와대에서도 박 대통령의 신임이 매우 두터웠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십수년간 박 대통령의 분신처럼 활동한 이력은 한편으론 최씨와의 관계를 의심케 하는 배경으로도 작용한다. 청와대 역대 어느 비서실장보다 막강한 위세를 누려 '왕(王)실장' 타이틀까지 붙은 그가 박 대통령의 '40년 지기'라는 최씨의 존재, 나아가 최씨의 국정농단을 몰랐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김 전 실장이 최씨라는 인물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정황은 곳곳에 있다. 김 전 실장은 일본차병원(일본TCC)에서 면역세포치료를 받았는데 이를 소개해 준 곳이 최씨가 단골로 다녔는 차움의원으로 알려졌다. 당시 그는 치료비 50%를 할인받은 것으로 드러나 특혜 의혹도 제기됐다. 차움의원 역시 방문 기록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최씨 등에게 박 대통령의 주사제를 대리 처방해 준 것으로 확인돼 물의를 빚은 김상만 전 녹십자아이데드 원장을 2013년 8월 대통령 자문의로 위촉한 것도 김 전 실장이다. 김 전 실장은 아울러 박근혜 정부 출범 초기 최씨가 소유한 강남구 신사동의 한 빌딩 사무실을 이용하면서 조각 등 정부 운영의 틀을 짰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김 전 실장은 지난 대선에서 친박 원로 모임인 '7인회' 멤버로 박 대통령 당선을 도왔다. 박 대통령 일가와의 밀접한 관계 등을 되짚어보면 김 전 실장이 박 대통령의 '40년 지기'라는 최 씨를 모른다는 건 납득하기 힘들다. 지난 21일 밤 구속된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검찰에서 "김 전 실장의 소개로 최 씨를 알게 됐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차관의 진술이 맞다면 김 전 실장이 최 씨의 국정농단 행위를 방조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살 만하다. 김 전 실장이 최씨가 소유한 서울 강남의 한 빌딩 사무실을 이용하면서 국정 업무를 봤다는 주장도 나온다.
최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은 김 전 실장의 연루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의혹의 실체를 제대로 규명하는 데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 검찰 수사는 막판 초읽기에 들어갔다. 최순실 특검법이 22일 국무회의를 통과했고 23일 공포돼 시행에 들어간다. 예정된 절차대로라면 검찰 수사는 2주가량 지나면 일단락된다. 지난 20일 기소된 최씨 등의 공소장에 김 전 실장과 관련해선 거의 언급이 없다. 수사 자체가 이뤄지지 못한 탓으로 보인다. 김 전 실장 관련 의혹 캐기 작업은 특검의 몫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특검은 출범 즉시 검찰 수사가 미진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직무유기 의혹과 더불어 김 전 실장의 역할도 심도 있게 파헤쳐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