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정부·지자체, 설 연휴 안전 비상대응체계 가동
상태바
정부·지자체, 설 연휴 안전 비상대응체계 가동
  • 백인숙기자
  • 승인 2017.01.26 0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응급진료소 운영 등 분야별 중점추진
AI 확산 방지 전국서 일제 청소·소독

 정부와 지자체가 설 연휴인 27∼30일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비해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정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제8차 안전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설 명절 안전대책과 올해 국민안전 중점계획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설 연휴에 국민안전처는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각 부처는 소관분야 특별대책본부를, 지자체는 종합상황실을 각각 설치해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전국의 경찰·소방·해경 관서도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해 교통소통과 치안, 각종 긴급상황에 대비한다.


 정부는 분야별로 안전대책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큰 눈과 한파가 올 가능성에 대비해 제설대책반을 편성하고, 쪽방촌 거주자나 홀몸노인 등 한파 취약계층에는 긴급 안전점검과 의료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동이 많은 연휴에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명절 전후로 전국에 일제 청소와 소독을 하는 등 방역관리도 강화한다.
 국토부에서는 정부 합동 특별 교통대책본부를 설치해 여객 수송을 총괄 지원한다. 경찰청은 162곳에 순찰차를 거점 배치하고 암행순찰차·경찰헬기·무인비행선·드론 등을 활용해 교통 무질서행위를 단속한다. 또 연휴에 진료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국에 응급진료소·당직 의료기관·휴일지킴이 약국 등을 하루 평균 9864곳 운영한다. 산재사고 등에 대응할 위험상황신고실도 24시간 운영된다.


 정부는 이날 2017년 국민안전 중점과제로 생활안전·시설안전·산업안전 등 3대 분야와 재난관리 분야의 23개 과제를 정하고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생활안전과 관련해서는 교통사고 사망자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에 대한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폐어망, 로프 등으로 인해 매년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예방할 종합대책도 마련한다.
 최근 자주 발생한 전통시장 화재와 관련해서는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화재저감 종합대책을 점검·보완해 2025년까지 화재사고를 20% 줄이기로 했다.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안전관리 기본계획과 집행계획도 수립한다.


 시설안전 측면에서는 사고가 났을 때 대규모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분야의 안전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2∼3월 열리는 국가안전대진단에서 33만 곳의 관리실태를 진단하고, 대형 공사장과 유어장 등 안전에 취약한 민간시설 15만 곳도 집중 점검한다. 또 원자력발전소·학교·야영장 안전대책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사각지대에 있는 번지점프 등 신종 레저시설에 관한 제도를 보완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