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아파트 중도금 대출 연 5%대 ‘이자폭탄’ 현실로
상태바
아파트 중도금 대출 연 5%대 ‘이자폭탄’ 현실로
  • 김윤미기자
  • 승인 2017.02.07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권 중도금 대출 거부…중도금 은행 못구해 납입일 연기도
이자 1년 전보다 최고 2%p 올라…계약자 부담 커져 입주 포기 우려도

  

 A건설사는 경기도 광주시에서 지난해 10월 분양한 아파트의 1차 중도금 납부 기일이 이달 15일로 코앞에 닥쳤지만 아직 중도금 대출 은행을 구하지 못했다.

    1천가구가 넘는 대단지이면서 대형 건설사가 분양한 브랜드 아파트지만 대출 요청에 은행들이 모두 손사래를 치고 있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7일 "아직 30% 정도 미계약이 남아 있다는 이유로 은행들이 중도금 대출을 거부하고 있다"며 "미분양 판매를 촉진하면서 은행들과도 계속 접촉하고 있는데 아직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결국 1차 중도금 납부 시기를 연기하기로 하고, 최근 분양계약자들에게 관련 공문을 발송했다.

    금융당국의 아파트 집단대출 옥죄기가 연초에도 계속되면서 분양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10월 "연간 대출 한도가 초과"됐다며 대출을 꺼렸던 은행들이 해가 바뀌어서도 여전히 중도금 대출에 소극적인 까닭이다.

    미분양이 생긴 단지는 물론이고, 분양률이 양호하고 100% 계약이 끝난 대형 건설사의 아파트 단지도 중도금 대출 은행을 구하지 못해 애태우고 있다.

    특히 은행들이 중도금 대출 이자를 연 4%를 넘어 5%대까지 요구하면서 '중도금 대출 이자 폭탄'이 현실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 은행이 '갑(甲)중의 갑'…중도금 대출 아직 한겨울
    작년에 이어 올해도 분양시장은 연초부터 중도금 대출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분양 후 대출 은행 섭외에 몇 달씩 걸리는 것은 다반사고 중도금 납부일자가 임박해서까지 대출 은행을 찾지 못해 중도금 납부기일을 연기하는 곳도 속출하고 있다.

    100% 계약이 끝났거나 건설사의 신용이 높아도 소용없다.

    작년 10월에 강동구 고덕동에 분양한 B아파트는 중도금 대출 일자가 한달 앞으로 다가왔는데 아직까지 은행들과의 협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 아파트는 청약에서 3만6천여명이 몰리며 청약 과열이 빚어진 데다 분양도 초기에 100% 끝난 현장이다.

    그러나 전체 4천932가구의 초대형 대단지에 일반분양 물량만 2천가구가 넘다보니 대출액 규모가 커 은행들이 선뜻 나서지 하고 있다. 


    시공사 관계자는 "복수의 은행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며 "재건축 컨소시엄 사업이라 타사와도 협의해야 하고 여러모로 복잡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대형 건설사는 작년 10월 이후 분양한 세종시와 대전 관저, 화성 동탄2신도시의 신규 아파트 모두 중도금 대출 은행을 찾지 못했다.

    작년 10월 의정부 신곡동에 분양한 다른 대형 업체의 아파트도 중도금 대출 협의가 지연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정부의 가계부채 건전성 확보 방침에 집단대출만 타깃이 되고 있다며 볼멘소리다.

   

    ◇ 대출이자 5%대까지 치솟아…입주 포기 우려
    은행들의 중도금 대출 기피 현상이 계속되면서 현재 중도금 대출 이자는 연 5%대까지 치솟았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3%초중반이던 금리가 2%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작년 10월에 분양한 경남 울산의 B아파트는 현재 지방은행과 협의를 진행 중인데 연 5.5%의 대출 이자를 요구하고 있어 난처한 상황이다.

    이 아파트는 분양 당시 일부 주택형이 최고 400대 1이 넘는 경쟁률로 마감됐고, 분양도 조기에 완판한 단지다.   

 

시공사 관계자는 "올해 초 중도금 대출 한도가 풀리면 대출을 해주겠다던 은행들이 일제히 난색을 보이고 있고, 그나마 대출을 해준다는 곳도 금리가 너무 높아 진행이 어렵다"며 "중도금 은행을 구해도 금리 때문에 계약자들이 수긍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화성 동탄2신도시 최고 경쟁률로 분양한 C아파트는 최근 지방은행 2곳과 중도금 대출 약정을 맺었는데 이자율이 연 4.2%에 이른다.

    지방은행에서조차 거절당한 곳은 새마을금고나 수협 등 제2금융권과 대출 약정을 맺으면서 연 4% 중후반대 이자로 계약하고 있다.

 

    실제 강동구 고덕동 C아파트의 재건축 조합은 1금융권이 조합원 대출을 거절해 제2금융권(농협)의 신용대출로 전환하면서 대출 금리가 연 4.7%까지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는 미국발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기준금리까지 오를 경우 현재 4% 초반인 대출 금리가 입주시점에는 5% 중후반대까지 높아지며 '이자 폭탄'이 현실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도금 대출 규제가 미분양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입주 시점에 대출 이자 등을 감당하지 못해 매물로 대거 쏟아질 경우 주택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특히 올해부터 중도금 대출에 대한 심사 요건을 강화하고 잔금대출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로 하는 등 강도 높은 대출 규제를 진행하고 있어 중도금 대출을 받기도 전처럼 쉽지 않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