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소모적 의혹제기 보다는 차분히 지켜보자
상태바
소모적 의혹제기 보다는 차분히 지켜보자
  • .
  • 승인 2017.03.27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월호가 침몰한 지 3년만에 어두운 바닷속에서 올라와 전체 모습을 드러내 그동안 사고 원인을 두고 제기된 숱한 의혹이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 25일 밤 수면 위로 완전히 부상한 세월호는 곳곳이 녹슬고 일부 부분이 떨어져 나가기도 했지만 원형이 크게 변형된 모습은 아니다. 정부와 수사기관의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암초 좌초설, 폭침설, 선박 및 잠수함 충돌설 등 각종 외부충격설이 제기됐고, 이 때문에 선체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로 의문점을 해소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먼저 세월호 선체 인양시기 논란이다. 정부는 사고 1년 후인 2015년 4월 인양 계획을 처음 발표했다. 그러고 나서 1년 11개월 만인 지난 23일 인양에 성공했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주원인은 인양 방식의 변경이었다. 정부와 계약을 맺은 상하이샐비지는 원래 해상크레인과 플로팅 독을 이용하려고 했다. 그런데 사고 해역의 여러 난조건 때문에 포기하고 잭킹바지선과 반잠수 선박을 쓰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침몰 선체를 통째로 인양하는, 사상 유례가 없는 시도였다. 결국, 이 회사는 인양 성공으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작업 기간이 원래 계획보다 2배 이상으로 길어져 수지면에서는 큰 손해를 봤다.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었다는 주장을 수긍하기 어려운 이유다. 인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선미 램프를 절단해야 했을 때 제기된 선체 훼손 논란도 마찬가지다. 램프가 열려 사고가 났을 수도 있는데 증거인멸이 아니냐는 주장이었다. 그러면 램프 절단을 그만두고 인양도 포기했어야 하는지 되묻고 싶다. 결국 해수부는 침몰 해역에 가라앉아 있는 무게 40톤의 램프를 인양해 선체조사위에 넘기기로 했다. 정치권에서도 인양 시점을 둘러싼 신경전이 감지되고 있다. 자유한국당 대선 주자인 홍준표 지사는 26일 "묘하게 대통령 선거 기간에 배가 떠올랐다. 왜 하필 이 시점에 인양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40여 일 남은 대선 판세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의식한 발언인 것 같다. 더불어민주당 등 구야권의 반응과 극명히 대조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세월호 선체 인양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침몰 원인을 둘러싼 진상 규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사고 이후 검경합동수사본부 등 수사당국과 정부는 세월호가 선체 복원력이 약해진 상태에서 조타수의 부적절한 조타로 무리하게 실은 화물들이 쏟아지면서 균형을 잃고 침몰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세월호가 현재 왼쪽으로 누운 상태여서 선체 좌측이 어떤 상태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외부충격설은 설득력이 떨어지게 됐다. 세월호가 기계 결함으로 인해 침몰했을 것이라는 의혹도 있다. 대법원은 2015년 업무상 과실 혐의로 기소된 세월호 조타수에 대해 "조타 실수보다는 조타기의 결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한 바 있다. 정부가 발표한 사고 원인에 대해 법원도 의문의 여지를 남겨둔 것이다. 26일 드러난 세월호의 밑바닥의 방향타 모양은 위쪽으로 살짝 들어 올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방향타가 우현으로 5∼10도 정도 꺾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 것만으로는 침몰 원인으로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최근엔 세월호의 램프(화물 출입구)가 사고 당시 열려 바닷물이 유입되는 바람에 침몰했다는 의혹도 증폭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인양 과정에서 세월호의 선미 좌측 램프가 열린 채 발견됐기 때문이다. 인양된 세월호 선체는 반잠수 선박에 실려 이르면 28일 목포 신항에 도착할 것 같다. 선체가 부두에 거치 되면 정부 합동수습본부가 가동되고, 머지않아 선체조사위도 활동을 시작한다고 한다. 특별법에 따라 만들어지는 선체조사위는 이미 국회 추천 5명, 유가족 추천 3명으로 위원 진용을 갖췄다. 이르면 28일 국회에서 위원회 구성안이 확정될 것이라고 한다. 이 위원회는 최장 10개월간 활동하는데, 자료·물건 제출 명령, 동행 명령, 참고인 등 조사, 고발 및 수사 요청, 감사원 감사 요구 등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이처럼 힘이 센 조사위원회가 곧 활동을 시작하는 만큼 차분히 그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