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전북도 '삼성 새만금 투자 쇼 논란' 해명
상태바
전북도 '삼성 새만금 투자 쇼 논란' 해명
  • 호남취재본부/서길원기자
  • 승인 2014.10.17 0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그룹 새만금 투자 양해각서'에 대한 파문이 지역사회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침묵으로 일관했던 전북도가 마침내 입을 열었다. 그러나 뚜렷한 대응책은 없고 향후 계획만 밝혀 이번 양해각서(MOU)에 대한 각종 의혹을 풀기에는 역부족이다는 지적이다.전북도는 16일 '정부·전북도·삼성그룹 새만금 투자 양해각서는 정치 쇼'에 불과하다는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도는 전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MOU가 체결됐던 당시의 보도자료(2011년 4월27일) 등을 공개, MOU 체결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진행상황을 언급했다.또 이번 MOU 문제를 제기했던 장세환 전 국회의원에 대해 우회적으로 반박성(?) 발언도 이어갔다.전북도는 이날 "삼성측의 입장을 들어보면 '투자시기가 도래하면 투자를 할 것이다'는 것이다"면서 "삼성의 새만금 투자의지는 변한 것이 없다"고 밝혔다.이어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핵심은 MOU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것인데 정부와 삼성측에서 공개를 원치않기때문이다"면서 "비공개로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가 공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또 최근 장세환 전 국회의원이 언급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반박발언도 이어갔다.실제 장 전 의원은 지난 10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해각서에서 삼성의 투자용지를 신재생에너지용지로 못박고 있다"며 "정부가 변경된 새만금MP에서 신재생에너지용지를 폐지함으로써 삼성은 새만금지역에 투자하지 않을 수 있는 '문서상 권리'를 확보했고, 이는 문서상으로 투자 백지화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이같은 장 전 의원의 주장에 도는 어불성설(語不成說)이라는 반응을 보이며 "MP가 변경되면서 기존 업종중심의 8대 용지체계에서 경협특구 조성에 유리한 6대 용지체계로 변경됐다"면서 "변경(안)된 MP를 보면 삼성 투자용지가 명시 돼 있고 오히려 더 빨리 투자할 수 있는 요건이 마련됐다"고 해명했다.그러나 도의 이같은 공식입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삼성의 새만금 투자 계획을 둘러싼 각종 억측을 불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양해각서를 체결한 지 3년이 지났지만 삼성측의 구체적인 투자계획 등이 나오지 않았고, 지속적인 삼성과의 교류가 없었다.또 '삼성의 새만금 투자의지가 변화된 게 없다'는 입장은 삼성그룹 현 고위간부가 밝힌 것이 아닌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 팀장과 김재명 전 정무부지사(삼성그룹 출신)를 통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삼성이 투자하기로 한 부지와 도로 등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 투자여건 조성을 우선시하겠다"면서 "새만금개발청과 협의해 삼성과의 공식 대화 창구를 단일화시켜 향후 투자계획 등 구체적인 협의를 벌여나가겠다"고 해명했다.한편 삼성 새만금 투자 양해각서를 보면 삼성그룹은 새만금지역에 2021년부터 풍력과 태양전지·연료전지 등을 포함한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구축한다.삼성그룹은 2021년부터 2040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2단계 예정부지에 에너지 생산시설과 R&D·정주환경조성 등을 추진하며, 우선 1단계로 2025년까지 약 7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